<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 연구 : 정치사회화 관점을 중심으로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박석동
학위 박사
소속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전공 교육학과교육사회전공
발행연도 2014년
쪽수 187 p.
지도교수 이건만
키워드 #정치사회화   #북한이탈가정 아동   #이질감   #동질감
조회수 4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60년 이상 다른 정치체계를 유지해 온 한국과 북한은 문화적으로도 민족적 동질성이 미약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증가와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남북통일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을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3개월간이었고, 대상은 통일부 지정 북한이탈가정 위탁교육 기관인 경기도 A시 소재 S초등학교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116명이었다. 방법은 관찰과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로 연구 대상 아동들을 직접 관찰하였고 경영자 1명, 교사 2명, 코디네이터 2명, 그리고 하나원과 H학교 코디네이터 각 1명 등 총 7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은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 둘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은 교사 및 또래 학생들과 어떻게 사회적 관계를 가지는가? 셋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은 학교에서 어떤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는가?
연구 결과 첫째, 권위에 의존하려는 타율적 태도를 보였다. 교사를 권위의 대상으로 생각했고, 지나치게 의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개인 중심의 생활에 부담을 느끼며 불안해하였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표현하지 못하였고, 교사의 지시를 자신의 의사보다 중시하였으며, 학급 선거에서는 선거권이 없는 참관자처럼 행동하였다. 개인 간의 약속 등 자신의 의사결정보다는 권위자의 지시에 책임을 더 느끼고 있었다.
둘째, 소속집단을 기준으로 동질감을 느끼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만 지도하는 특별학급 교사에 대해서는 초기부터 집단적 소속감을 느끼며 동질감을 형성하였으나, 한국 학생들을 함께 지도하는 통합학급 담임교사와는 이질감의 폭을 좁히기 어려웠다. 특별학급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끼리는 동질감을 느끼며 관계를 맺었지만, 통합학급에서 함께 공부하는 한국 초등학생들에게는 이질감을 느끼며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4주 이후에 조금씩 달라지긴 하였으나 12주 후에도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집단중심의 생활양식을 보이며 개인관리를 소홀히 하였다. 학교급식을 배급의 연장선상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음식의 종류 선정과 양 조절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한꺼번에 용돈을 모두 쓰는 등 경제적 관리가 계획적이지 못했다. 자기관리에서도 집단에 묻혀 넘어가려고 할 뿐 집단적 압력이나 권위자의 지시가 없으면 개선하려 하지 않았다. 학습을 귀찮고 어려워했으며 과제나 역할분담 등 주어진 것을 처리하면 반드시 교사의 확인을 받으려 하였다. 언제 어느 곳에서나 가장 먼저 소속집단을 파악하려 하였고 그 집단에 적응하려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보면 집단중심 가치로 정치사회화 된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이 S초등학교에서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을 겪으면서 개인중심 가치에 동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타율적 태도가 자율적으로, 소속집단 기준의 사회적 관계가 개인 기준으로, 집단주의 생활양식에서 개인주의 생활양식으로 바뀌어가고 있었다. 이는 북한이 정치체계 유지를 위해 개인가치보다는 집단가치를 중시하여 주민들을 정치사회화한 결과가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들은 감시와 통제 속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주입식 정치사회화 과정을 조기부터 경험하여 자율적이지 못한 태도를 형성하게 되었고, 집단을 단위로 한 생활 과정에서 소속집단 구성원이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사회적 관계의 대상이 되었으며, 개인보다는 집단을 우선하는 집단중심 가치에 따라 집단생활에 친숙한 생활양식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이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국의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려면 첫째, 교사와 한국 학생 및 학부모들이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의 특성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해야 하고, 둘째, 학생 자치활동 등 한국의 민주시민 교육을 강화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해야 하며, 셋째, 집단적 소속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들에게 친숙한 모둠 학습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문제 10
가. 연구의 목적 10
나. 연구의 문제 11
3. 연구의 한계 12


Ⅱ. 이론적 배경 15
1. 정치사회화 15
가. 정치사회화의 개념 16
나. 정치사회화와 사회화 18
다. 정치사회화와 정치학, 정치사회학, 정치철학 19
2. 정치사회화 이론 21
가. 거시이론 22
나. 미시이론 24
3. 한국과 북한의 정치사회화 27
가. 정치체계 28
나. 사회화를 위한 정치교육 32
다. 정치사회화 매체 36
라. 정치사회화의 내용 42
마. 정치사회화의 방법 44


Ⅲ. 연구 방법 47
1. 연구 방법의 특징 47
가. 질적 사례 연구 47
나. 참여 관찰과 면담 49
2. 연구의 절차 52
가. 기간과 절차 52
나. 자료 수집과 분석 53
3. 연구 참여자와 사례 집단 58
가. 연구 참여자 59
나. 사례 연구 대상 61
다. 사례 연구 집단 6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71
1. 권위에 의존하려는 타율적 태도 71
가. 권위에 대한 복종과 의존 72
나. 소속집단 부재에 대한 불안 79
다. 공감대 부족으로 인한 소통 장애 82
라. 권위자의 의견을 우선한 의사 결정 88
마. 참관자로서 참여하는 자치활동 92
바. 권위자의 지시 이행 책임 95
2. 소속집단을 기준으로 한 사회적 관계 97
가. 특별학급 아동들끼리의 동질감 98
나. 통합학급 아동들과의 이질감 104
다. 교사에 대한 이질감과 동질감 108
라. 적응시차로 인한 부자 갈등 112
3. 집단중심의 생활양식 119
가. 편식과 과식 120
나. 한 번에 다 쓰는 용돈 125
다. 집단에 묻히는 것이 최선의 자기관리 128
라. 버거운 학습 132
마. 친숙해지는 학교집단 138
4. 논의 142
가. ‘권위’와 ‘복종’ 143
나. ‘통제’와 ‘의존’ 145
다. ‘집단’과 ‘개인’ 147
라. ‘소속’과 ‘관계’ 149
마. ‘문화적응’과 ‘생활양식’ 151


Ⅴ. 결론 154
1. 요약 154
2. 결론 158
3. 제언 161

참고 문헌 163

ABSTRACT 178

부록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