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로져스(Richard Rodgers)와 해머슈타인(Oscar Hammerstein II) 의 뮤지컬 작품 분석을 통한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 대중오락에서부터 예술형식으로 도약하기까지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허윤정
학위 박사
소속학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전공 공연예술협동과정
발행연도 2014년
쪽수 119 p.
지도교수 윤용아
키워드 #뮤지컬 코미디(musical comedy)   #북 뮤지컬(book musical)   #뮤지컬 플레이(musical play)   #R&H혁명   #통일성 있는 뮤지컬(integrated musical)
조회수 6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미국 뮤지컬의 황금기를 개척한 극본가 겸 작사가인 오스카 해머슈타인과 작곡가인 리챠드 로져스가 1943년에 처음 만나서 뮤지컬 〈Oklahoma!〉를 발표하면서 향후 18년간 협업을 통하여 미국 뮤지컬을 수준 낮은 대중오락에서부터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리기까지의 과정을 그들이 발표한 10편의 작품들을 통하여 면밀히 분석하였다. 소위 R&amp;H 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이들의 협업 작업은 1960년대까지 미국 뮤지컬의 황금기를 개척하였는데 〈Oklahoma!〉 이전까지 미국 뮤지컬은 영국의 오페레타를 모방한 저급한 대중오락의 수준에 머문 ‘뮤지컬 코미디’로서 스토리와 인물과 노래와 춤 등의 극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이 논리적 통일성을 결여한 버라이어티 쇼에 지나지 않았었다. 그러나 〈Oklahoma!〉로부터 극본 중심의 뮤지컬이 만들어져서 극을 이루는 모든 요소들이 유기적 통일성을 이룸으로서 비로소 예술의 경지에 접어들게 되었다.
그들의 다음 작품인 〈Carousel〉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인간의 삶에 대한 철학적 통찰을 보여주면서 뮤지컬로서는 드물게 진지하고 심각한 극적 전개를 보여줌으로서 ‘뮤지컬 트래저디’(musical tragedy)의 경지로까지 나아가서 종전의 안이한 해피 엔딩(happy ending)을 거부하고 뮤지컬 형식 또한 진지한 연극 못지않게 인생에 대한 심오한 통찰을 담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어 그들은 더욱 대담한 실험적 시도를 다음 작품인 〈Allegro〉에서 보여주었는데 이 작품은 기존의 원작에 토대를 두고 각색을 하던 종전의 뮤지컬 창작의 방식을 버리고 해머슈타인과 로져스의 순수 창작으로 만들어졌으나 지나친 의욕이 앞서 대중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후일 손다임의 컨셉 뮤지컬(concept musical)을 예견케 하는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그 뒤에도 둘은〈Me and Juliet〉에서 또다시 순수 창작 뮤지컬을 시도하였으며 이번에도 흥행은 물론 예술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이후 해머슈타인과 로져스는 원작을 뮤지컬로 각색하는 작업으로 돌아가 연달아 〈South Pacific〉과 〈The King and I〉를 발표하였는데 이 두 작품으로 그들은 흥행적으로나 예술적으로나 최상의 업적을 이루었다. 완벽한 극적 통일성을 구축하고 오락적인 요소를 극대화하면서도 인간과 사회의 편견의 문제를 진지하게 파고든 주제 의식은 뮤지컬의 수준을 순수 연극의 반열에까지 끌어올렸다.
그러나 이후 발표한 〈Pipe Dream〉과 &lt;Flower Drum Song&gt;은 이미 문학적 명성을 확보한 원작을 각색하였으나 전작들에 비하여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마지막 협업 작품인 &lt;The Sound of Music&gt;은 무대 공연은 물론 영화화를 통해서도 적어도 흥행적으로는 공전의 대 성공을 거두었으나 이제 두 사람의 황금기는 저물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기도 한 작품이었다.
1970년대 이후 미국 뮤지컬의 기류는 크게 바뀌어 종전의 극본 중심의 ‘북 뮤지컬’(book musical)에 도전하는 전혀 새로운 종류의 뮤지컬 형식들이 간단없이 등장하는데 이를테면 록 뮤지컬(rock musical), 댄스 뮤지컬(dance musical), 메가 뮤지컬(mega musical), 디즈니 뮤지컬(Disney musical), 팝 뮤지컬(pop musical) 등등이 쏟아져 나왔으나 이들은 오히려 미국 뮤지컬의 퇴보와 타락의 조짐을 보여준 측면이 없지 않으며 이에 대한 반성으로 1990년대 이후 미국 뮤지컬은 다시 해머슈타인과 로져스의 통일성 있는 극본 중심의 뮤지컬로 복귀하는 경향을 보여줌으로서 R&amp;H의 뮤지컬 혁명은 이제 21세기에 들어와서도 여전히 유효하며 그 의의는 미래에도 결코 식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그들의 후계자인 스테픈 손다임의 컨셉 뮤지컬을 예로 들면서 결론 삼았다.

The collaboration of Richard Rodgers and Oscar Hammerstein II was established in 1943 when they put on the world premiere of the musical &lt;Oklahoma!&gt; and lasted until Hammerstein's death in 1960. It produced nine musical plays-&lt;Oklahoma&gt;(1943), &lt;Carousel&gt;(1945), &lt;Allegro&gt;(1947), &lt;South Pacific&gt;(1949), &lt;The King and I&gt;(1951), &lt;Me and Juliet(1953), &lt;Pipe Dream&gt;(1955), &lt;Flower Drum Song&gt;(1958), and &lt;The Sound of Music&gt;(1959) plus the film musical &lt;State Fair&gt;(1945), and the television musical &lt;Cinderella&gt;(1957).
It was an ideal partnership initiating what is considered the "golden age" of musical theatre in 1940's and 50s. With Rodgers composing the music and Hammerstein writing the lyrics and sometimes librettos also, both men respected talent and craft, shared similar social habits, and saw the world from the same musical viewpoint. They also grew up in the same theatre milieu, responded to similar influences, and participated in the same currents of artistic thought and activity.
Each was a fully prepared musical experts at the beginning of their collaboration, having already created a combined total of fifty-nine shows between them. Rodgers and Hammerstein, re-worked the musical theatre genre. Early 20th-century musicals, except for a few important examples like Hammerstein and Jerome Kern's &lt;Show Boat&gt;, were usually whimsical or farcical, and usually built around a star. Because the efforts of Rodgers and Hammerstein were so successful, many musicals followed that contained thought-provoking plots with serious themes, and in which all the aspects of the play, dance, song, and drama, were combined in an integrated whole.
After &lt;Oklahoma!&gt;, Rodgers and Hammerstein were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s to the musical-play form – with such masterworks as &lt;Carousel&gt;, &lt;The King and I&gt; and &lt;South Pacific&gt;. The examples they set in creating vital plays, often rich with social thought, provided the necessary encouragement for other gifted writers to create musical plays of their own.
While Rodgers and Hammerstein's work contains cheerful and often uplifting songs, they departed from the comic and sentimental tone of early 20th century musicals by seriously addressing issues such as racism, sexism and classism in many of their works. For example, &lt;Carousel&gt; concerns domestic violence, while &lt;South Pacific&gt; addresses racist views by westerners of Pacific islanders, and racism generally.
As a team they continued to find ways to express their ideas and beliefs through a show's story and characters, never sacrificing entertainment value to their social advocacy.
Under their extensive guidance, the American musical theater would develop into one of the most satisfying and unique American contributions to theatre.
목차
"목 차

논문요약 ⅲ
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II. 로져스와 해머슈타인 이전의 브로드웨이 뮤지컬 8
1.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역사적 전개 8
2. 해머슈타인과 <Show Boat> 13
3. 로져스와 <Pal Joey> 19
4. 로져스와 해머슈타인의 첫 만남 24

III. 로져스와 해머슈타인의 혁명: 1943~1959 27
1. Oklahoma! : 미국 뮤지컬의 신기원 27
2. Carousel : 사랑을 받기보다 존경받는 작품 37
3. Allegro : 위대한 실패작 44
4. South Pacific : 의미심장한 오락 51
5. The King and I : 성격의 드라마 57
6. Me and Juliet : 창작의 한계 63
7. Pipe Dream : 현상 안주의 대가(代價) 68
8. Cinderella : TV로의 외도 74
9. Flower Drum Song : R&H 혁명의 조종(弔鐘) 78
10. The Sound of Music : 화려하나 공허한 피날레 82
IV. 결론: 로져스와 해머슈타인 뮤지컬의 특징과 그 역사적 의의 90
1. R&H Form의 특성과 의의(意義) 90
2. R&H Form이 후대에 미친 영향 100

참고문헌 113

ABSTRACT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