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 2 절 논문의 구성 4
제 2 장 이론적 논의 5
제 1 절 게이트키핑 과정 5
1. 뉴스의 사회적 현실구성과 프레이밍 기능 5
2. 게이트키퍼로서의 기자 10
제 2 절 언론의 이념성과 북한보도 16
1. 언론의 이념성에 대한 논의 16
2. 북한관련 뉴스보도에 대한 기존 연구 20
제 3 절 연구문제 23
제 3 장 연구방법 26
제 1 절 Q-방법론 26
제 2 절 연구 설계 및 절차 27
1. Q 표본(Q sample)의 구성 27
2. P 표본(P sample)의 선정 32
제 3 절 자료분석 34
1. Q 분류(Q sorting) 34
2. Q 분석(QUANL) 35
제 4 장 연구결과 36
제 1 절 Q 요인의 형성 36
제 2 절 유형별 특성 37
1. 제1유형 : 냉전적 반북주의형 38
2. 제2유형 : 평화공존추구형 48
3. 제3유형 : 평화통일지향형 57
4. 제4유형 : 대결적 협력주의형 65
제 3 절 인식유형 간 비교 73
1. 각 유형간 비교 74
2. 각 유형과 기타 세 유형의 합 비교 107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18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118
제 2 절 연구의 함의 124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25
참고문헌 129
<부 록> 135
Abstract 141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