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한국 언론인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유형연구 : 정치부기자를 중심으로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김재선
학위 박사
소속학교 高麗大學校 大學院
전공 言論學科
발행연도 2013년
쪽수 143 p.
지도교수 崔賢哲
키워드 #북한인식
조회수 5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언론 현실에서 국민들의 북한 관련 의식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북한 뉴스 현장 취재기자들의 취재원(북한)에 대한 인식을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Q methodology)을 이용해 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정치부 기자들은 북한에 대해 어떠한 인식 유형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정치부 기자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 유형 간에는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가?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 2 절 논문의 구성 4

제 2 장 이론적 논의 5
제 1 절 게이트키핑 과정 5
1. 뉴스의 사회적 현실구성과 프레이밍 기능 5
2. 게이트키퍼로서의 기자 10
제 2 절 언론의 이념성과 북한보도 16
1. 언론의 이념성에 대한 논의 16
2. 북한관련 뉴스보도에 대한 기존 연구 20
제 3 절 연구문제 23

제 3 장 연구방법 26
제 1 절 Q-방법론 26
제 2 절 연구 설계 및 절차 27
1. Q 표본(Q sample)의 구성 27
2. P 표본(P sample)의 선정 32
제 3 절 자료분석 34
1. Q 분류(Q sorting) 34
2. Q 분석(QUANL) 35

제 4 장 연구결과 36
제 1 절 Q 요인의 형성 36
제 2 절 유형별 특성 37
1. 제1유형 : 냉전적 반북주의형 38
2. 제2유형 : 평화공존추구형 48
3. 제3유형 : 평화통일지향형 57
4. 제4유형 : 대결적 협력주의형 65
제 3 절 인식유형 간 비교 73
1. 각 유형간 비교 74
2. 각 유형과 기타 세 유형의 합 비교 107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18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118
제 2 절 연구의 함의 124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25

참고문헌 129

<부 록> 135

Abstract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