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7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9
 
 Ⅱ. 이론적 배경 12
 
  1.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과 선행연구 12
 
  2. 무망감의 개념과 형성 18
 
  3. 무망감과 우울증관계의 완충효과 :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지지 36
 
  4. 연구 개념틀 및 가설설정 52
 
 Ⅲ. 조사방법 56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56
 
  2. 용어의 조작적 정의 58
 
  3. 측정도구 61
 
  4. 자료분석 방법 69
 
 Ⅳ. 분석결과 70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70
 
  2. 조사대상자의 무망감과 우울증 74
 
  3. 조사대상집단의 특성과 측정변인과의 관계 78
 
  4. 집단구분에 따른 측정변인들의 차이 100
 
  5. 무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07
 
  6.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17
 
  7. 무망감의 우울증 발생과정에서 변인간 관계구조 126
 
  8. 완충효과요인으로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지지 138
 
 Ⅴ. 논의 및 함의 149
 
  1. 논의 149
 
  2. 함의 159
 
 Ⅵ. 결론 182
 
 참고문헌 188
 
 부록 : 설문지 198
 
 Abstract 207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