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현대 북한의 이해』는 역사적 맥락에서,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및 대외관계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하면서 현대 북한에 대한 포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북한의 중대한 전환기에 걸쳐 역사적 관점과 제도적 관점 모두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적용을 제공한다.
각 장은 한국에서의 북한학 성숙도 증대뿐만 아니라 북한 자료에 대한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접근과 동시에 1990년대 이후 시작한 북한학의 성장을 대표한다. 이 책은 정치적 관점, 북한경제, 대외관계, 사회, 문화라는 5개 부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 떠오르는 논쟁과 연구 분야를 반영하고 있다. |
---|
목차 |
제1장 서론: 북한 이해하기
제1부 정치적 관점 제2장 북한 사회·정치체제의 진화, 1945~1994년 제3장 생존의 마스터들: 적대적 세계 속의 북한 리더십 제4장 김정은체제의 정치경제와 이데올로기 제2부 북한경제 제5장 북한 경제계획시스템의 구조적 변화 제6장 시장과 국가 사이: 북한의 취약한 농업과 식량공급 제7장 북한의 글로벌경제와의 상호작용 제3부 대외관계 제8장 적들이 이것을 가능하게 했다: 1948년 이후 중국-북한관계 제9장 핵무기와 북한의 외교정책 제10장 북한의 핵외교 제11장 오랜 우정의 부활: 현대 북한-러시아관계 제12장 열의를 갖고 다시 한번: 미국-북한 대화, 1993~2020년 제4부 사회 제13장 인권과 북한 제14장 북한에서 사람의 ‘시장 가치’ 제15장 북한의 아동 집단동원 제16장 북한인 디아스포라 제5부 문화 제17장 『조선 음악』 잡지를 통해 본 북한의 문화정책과 관행의 진화 제18장 연인의 사랑, 지도자의 사랑: 북한 소설 속 청춘 로맨스 제19장 김정은 시대의 대중문화: 지속과 변화 |
---|
다음글 |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 |
---|---|
이전글 | 냉전 - 우리 시대를 만든 냉전의 세계사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