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전쟁 속 외교

상세내역
저자 안문석
출판연도 2024년 04월 30일
출판사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쪽수 404
키워드 #전쟁   #외교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인류   #인간이성   #안문석
조회수 84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글) 안문석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전북대 한반도평화연구소장북한연구학회 부회장

학력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영국 요크대학교 정치학 석사영국 워릭대학교 정치학 박사

경력 전북대 국제협력처장미국 하버드대/조지타운대 객원교수호남정치학회/호남국제정치학회 회장KBS 기자/국제부·정치부 차장KBS 객원해설위원(남북관계 담당)전주 KBS ‘생방송 심층토론’ 사회자

주요논문 “The Sources of North Korean Conduct” (International Journal 75-2. 2020)“한미일 안보협력에 대한 성찰” (『동향과 전망』119호, 2023) 외 다수

주요저서 『식탁위의 외교』 (인물과 사상, 2022)『북한민중사』 (일조각, 2020)『북한현대사 산책』1~5권 (인물과 사상, 2016) 외 다수
상세내역
주요내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보여주듯 전쟁은 늘 인류 곁에 존재해 왔다. 인간의 삶을 피폐하게 하고 인간성을 말살하는 주범이 되어왔다. 그럼에도 전쟁이 인류를 폐망으로 끌고가지 못한 것은, 근본적으로는 인간이성(human rationality)이 존재하기 때문이고, 전쟁 중에도 인간이성이 대화와 협상, 중재 등의 형태로 발현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 저서는 인류가 끊임없이 전쟁을 하면서도 대화를 해온 역사를 쉬운 문체로 서술한다. 충돌 직전 전쟁을 막은 외교, 교전 중 대화를 통해 전쟁을 중단시킨 외교의 사례를 확인해 생동감 있게 서술했다. 전쟁을 오히려 키운 외교도 있고, 전쟁을 불러온 외교도 많은데, 그런 사례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체로 전쟁과 외교의 관계를 설명해, 토마스 홉스가 말하는 ‘전쟁의 상태’(state of war. 갈등 지속의 상태)에 있는 한반도에 사는 한국인들이 외교와 대화의 힘과 능력, 그리고 그 필요성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고자 한다.
상세내역
목차
머리말

1장 전쟁을 불러온 외교
1. 펠로폰네소스 전쟁 일으킨 중견국의 과욕외교(BC 431)
2. 백년전쟁으로 가는 길의 영국-프랑스 외교전(1337)
3.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을 유발한 전보 외교(1870)
4. 러일전쟁·한국점령을 위한 일본의 영일동맹 외교(1902)
5. 미국을 1차 세계대전으로 끌고 간 전보 공개 외교(1917)
6. 2차 세계대전으로 가는 길, 체임벌린의 유화외교(1938)
7. 김일성의 스탈린·마오쩌둥 상대 개전외교(1950)

2장 전쟁을 키운 외교
1. 나폴레옹 전쟁을 러시아로 확대시킨 밀수외교(1806~1812)
2. 인류 최초의 원폭공격을 불러온 일본의 대소련 중립외교(1945)
3. 베트남 전쟁을 키운 제네바 정치회담(1954)
4. 핵전쟁 위기 초래한 케네디-흐루쇼프 정상회담(1961)
5. 신냉전 촉진하는 미국의 중국 봉쇄 전략(2017~ )

3장 전쟁을 중단시킨 외교
1. 팍스 로마나 이룬 아우구스투스의 파르티아 외교(BC 21)
2. 수에즈 전쟁을 조기 중단시킨 유엔사무총장 함마르셸드(1956)
3. 중국-인도 전쟁 확대 막은 갤브레이스의 적극외교(1962)
4. 냉전 해체 시작한 브란트의 동방정책(1969)
5. 지독한 종교분쟁 끝낸 벨파스트 협정(1998)

4장 전쟁을 막은 외교
1. 후금의 침략을 막은 광해군의 전략적 외교(1618~1619)
2. 비스마르크, 화려한 비밀외교로 유럽전쟁을 막다(1873~1888)
3. 소련의 베를린 봉쇄 그리고 미국의 전략적 대응(1948~1949)
4. 제3차 세계대전을 막은 미국-소련 막후 협상(1962)
5. 한반도 전쟁을 방지한 카터의 뱃놀이 외교(1994)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전장에 두고 온 학생증
이전글 조선반도 전쟁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