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12년의 통치 기간에 서방 분석가들의 비관적 예측과 달리 김정은은 서방의 제재 압력에도 사회주의 체제와 국가 자체를 보존했을 뿐 아니라 핵·미사일 프로그램 개발(2012년)에서도 인상적인 성공을 거뒀다. 그는 핵 지위에 관한 북한 헌법을 개정했고 2022년 북한 핵 무력 정책 관련 법률을 채택했으며 여러 가지 경제 개혁을 실행했다. 대외정책에서는 국제 정상 회담 형식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2018년과 2019년, 2023년), 팬데믹 기간(2020~22년)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한 전례 없는 조치를 단행했다. 그러나 김정은은 자신의 전략적 의도를 실현하려면 어느 때보다 영향력 있는 외부 세력의 지원이 필요하다.
2011~23년 러시아-북한 관계를 다루는 이 책의 주제는 양국의 우선순위 목표와 양국 관계 발전 방향, 러-북의 삶에서 담당하는 양국 관계의 역할이다. 저자는 새로운 세계 질서가 형성되는 현재 상황에서 주권 수호의 독자 정책을 추구하는 북한으로서는 전통적으로 자국에 대해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고수하는 러시아,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2011~23년 러-북 협력의 주요 영역은 크게 볼 때는 정치·경제 협력이며, 작게 볼 때는 처음에는 제재로 인해, 나중에는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2020년 초 북한 국경 폐쇄로 인해 제한된 인도주의 교류이다. - 책을 펴내며 中 |
---|
목차 |
추천사 / 5
머리말 / 7 서론 / 11 [제1부] 김정일 체제하의 러시아-북한 관계 (1994~2011) 제1장 러시아-북한의 정치, 경제, 통상 관계 (21세기 이전) / 25 제2장 러시아-북한의 협력 활성화 단계 (2000~01년) / 39 제3장 대외정책과경제 상황 / 51 제4장 러시아-북한 관계 발전의 역학 / 69 [제2부] 러시아-북한의 기본 협력 분야 (2011-23) 제1장 김정은 치하의 북한 정치 / 89 제2장 새로운 지정학적 조건 속의 러시아-북한 간 정치 대화 발전 / 101 제3장 경제.통상 관계 발전의 주요 문제와 해결 전망 / 115 [제3부] 동북아 국제 관계 체제와 러시아-북한 상호 관계 제1장 2018~20년 북한의 대미 정책 변화 전제조건 / 125 제2장 북한-미국 협상 과정과 한반도 핵 프로그램 타결에서 러시아의 중재 역할 / 139 제3장 러시아-북한-한국 삼각 프로젝트: 미래를 위한 청사진 / 151 제4장 러시아-북한 협력과 중국 / 163 제5장 북한과 러시아의 국가 안보 전략 / 171 결론 / 179 미주 / 183 참고문헌 / 221 부록 / 243 |
---|
다음글 | 2030 대한민국 강대국 시나리오 |
---|---|
이전글 | 원폭국제민중법정 제2차 국제토론회 자료집(1945년 미국의 핵무기 투하의 책임을 묻는)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