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신밀월 시대

상세내역
저자 알리나 샤라펫디노
출판연도 2025년 04월 25일
출판사 다해
쪽수 260
키워드 #신밀월   #시대   #김정은   #사회주의   #체제   #핵   #알리나 샤라펫디노
조회수 77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글) 알리나 샤라펫디노바

2002년 극동국립대학교(블라디보스토크)에서 국제관 계학 학위를 취득했다. 2001년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통 해 울산대학교(사회과학대학)에서 수학했다. 2016년 러 시아 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 친 후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 관 등 러시아 외무부 공관에서 상당 기간 활동했다. 현재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 한국·몽골과 선임 연 구원으로 근무하고 있고 연구 관심 분야는 19세기 후반부 터 현재까지 한-미 관계, 현대 러시아-북한 관계, 북한 대 외정책 특성과 역사이다. 저서로는 『1866~1905년 미국의 한반도 정책』(모스크바: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 구소, 2019)이 있고, 논문으로는 「동방: 아프리카-아시아 사회, 역사와 근대성」, 「동방 분석」, 「오늘날의 아시아와 아 프리카」, 「극동의 문제」, 「국가 전략의 문제」 등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12년의 통치 기간에 서방 분석가들의 비관적 예측과 달리 김정은은 서방의 제재 압력에도 사회주의 체제와 국가 자체를 보존했을 뿐 아니라 핵·미사일 프로그램 개발(2012년)에서도 인상적인 성공을 거뒀다. 그는 핵 지위에 관한 북한 헌법을 개정했고 2022년 북한 핵 무력 정책 관련 법률을 채택했으며 여러 가지 경제 개혁을 실행했다. 대외정책에서는 국제 정상 회담 형식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2018년과 2019년, 2023년), 팬데믹 기간(2020~22년)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한 전례 없는 조치를 단행했다. 그러나 김정은은 자신의 전략적 의도를 실현하려면 어느 때보다 영향력 있는 외부 세력의 지원이 필요하다.
2011~23년 러시아-북한 관계를 다루는 이 책의 주제는 양국의 우선순위 목표와 양국 관계 발전 방향, 러-북의 삶에서 담당하는 양국 관계의 역할이다. 저자는 새로운 세계 질서가 형성되는 현재 상황에서 주권 수호의 독자 정책을 추구하는 북한으로서는 전통적으로 자국에 대해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고수하는 러시아,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2011~23년 러-북 협력의 주요 영역은 크게 볼 때는 정치·경제 협력이며, 작게 볼 때는 처음에는 제재로 인해, 나중에는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2020년 초 북한 국경 폐쇄로 인해 제한된 인도주의 교류이다.
- 책을 펴내며 中
상세내역
목차
추천사 / 5
머리말 / 7
서론 / 11

[제1부] 김정일 체제하의 러시아-북한 관계 (1994~2011)
제1장 러시아-북한의 정치, 경제, 통상 관계 (21세기 이전) / 25
제2장 러시아-북한의 협력 활성화 단계 (2000~01년) / 39
제3장 대외정책과경제 상황 / 51
제4장 러시아-북한 관계 발전의 역학 / 69

[제2부] 러시아-북한의 기본 협력 분야 (2011-23)
제1장 김정은 치하의 북한 정치 / 89
제2장 새로운 지정학적 조건 속의 러시아-북한 간 정치 대화 발전 / 101
제3장 경제.통상 관계 발전의 주요 문제와 해결 전망 / 115

[제3부] 동북아 국제 관계 체제와 러시아-북한 상호 관계
제1장 2018~20년 북한의 대미 정책 변화 전제조건 / 125
제2장 북한-미국 협상 과정과 한반도 핵 프로그램 타결에서 러시아의 중재 역할 / 139
제3장 러시아-북한-한국 삼각 프로젝트: 미래를 위한 청사진 / 151
제4장 러시아-북한 협력과 중국 / 163
제5장 북한과 러시아의 국가 안보 전략 / 171

결론 / 179
미주 / 183
참고문헌 / 221
부록 /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