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트럼프 2.0시대 동아시아와 한반도

상세내역
저자 강석율 , 김재관 , 문익준 , 민정훈 , 신종호 , 최필수
출판연도 2025년 05월 10일
출판사 차이나하우스
쪽수
키워드 #트럼프   #2.0 시대   #동아시아   #한반도   #강석율   #김재관   #문익준   #민정훈   #신종호   #최필수
조회수 143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글) 강석율
(姜錫律, Seok-ryul Kang)
(現)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연구위원
(前) 세종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前)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미국 Purdue University 정치학 박사 (국제정치학 전공)

-저자(글) 김재관
(金在寬, Jaekwan Kim)
(現)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겸 교수평의회 의장
(前) 전국 국공립대학교 교수회연합회 사무총장
(前) 외교부 정책 자문위원
(前) 통일부 정책 자문위원
(前) 한국유라시아 학회 회장
중국 베이징대학교 정치학박사

-저자(글) 문익준
(文益俊, IkJoon Moon)
(現) 국민대학교 중국학부 부교수 겸 기후변화대응사업단 부단장
(現) 현대중국학회 총무위원장
(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 부연구위원
중국 칭화대학교 경제학 박사

-저자(글) 민정훈
(閔廷薰, Jeonghun Min)
(現) 국립외교원 미주연구부 교수
(前)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前) 한국아메리카학회 편집이사
(前) 미국 노스이스턴 주립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미국 조지아대학교(Univ. of Georgia) 정치학 박사

-저자(글) 신종호
(申鍾浩, Jongho Shin)
(現) 한양대학교 ERICA 글로벌문화통상학부 교수
(前)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前)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중국 베이징대학교 법학 박사(국제정치 전공)

-저자(글) 최필수
(崔弼洙, Pilsoo CHOI)
(現) 세종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
(前) 외교부 경제안보위원회 자문위원
(前) 한국유라시아학회 회장
중국 칭화대학교 경제관리학원 박사
일본 히토츠바시 ICS 경영학 석사
상세내역
주요내용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와 한반도 안보 환경을 다각도로 분석한 책이다. 미국 대선 결과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이 초래할 동아시아 역내 질서 재편과 한반도에 미칠 영향을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심층 분석했다. 총 6개 장, 29개 핵심 주제를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중 관계 재정립, 대만 문제, 한반도 정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전망과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상세내역
목차
추 천 글
프롤로그
차 례

Ⅰ. 2024년 미국 대선 결과 및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민정훈)
1. 2024년 미국 대선 표심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무엇인가?
2. 누가 트럼프 후보를 선택했는가?
3. 2024년 미국 대선 결과는 국제질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4.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기조는 무엇인가?

Ⅱ.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미·중 관계: 경제통상 (최필수)
5. 미국의 대중국 기술 봉쇄는 성공할 것인가?
6. 미국과 중국은 글로벌 사우스(글로벌 남반구)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7. 미국과 중국은 경제 안보를 어떻게 구현하려 하는가?
8. 미국과 중국 간 디커플링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9. 미국과 중국의 경제 규모는 역전될 것인가?

Ⅲ.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미·중 관계: 외교안보 (신종호)
10. 트럼프 2기 미중 외교·안보 관계는 어떤 방향으로 재정립될 것인가?
11. 트럼프 2기 미국의 대중국 정책에서 핵심 쟁점은 무엇인가?
12. 트럼프 2기 미중 외교·안보 분야의 3C는 어떻게 균형을 잡을 것인가?
13. 대만 문제는 트럼프 2기 미·중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14. 미중 간 글로벌 안보 이슈를 둘러싼 협력과 갈등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Ⅳ. 미국 新행정부 출범과 동아시아 질서 변화 (김재관)
15.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주도권 확보를 위한 미·중 관계는 어떤 변화와 지속성을 띨 것인가?
16. 미국 新행정부 출범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하여 미·중·러 삼각관계는 어떻게 변화할 것이며, 그 지속성은 무엇인가?
17. 미국 신행정부 출범 이후, 북·중·러 삼각관계는 어떻게 형성될 것이며 그 전망은?
18. 미국 신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일 對 북·중·러 삼각관계의 부활 가능성은 무엇이며, 이 관계가 동아시아 안보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
19. 북방 삼각관계에 대비한 한국의 안보 과제와 전략적 선택은 무엇인가?

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대만 문제 (문익준)
20.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중국은 대만에 대한 무력 침공을 감행할 것인가?
21. 대만 위기 발생 시, 미국의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
22. 미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을 계속 유지할 것인가?
23. 양안 관계(중국-대만)의 경제적 협력은 계속 유지될 수 있을 것인가?
24.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 재편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Ⅵ.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한반도 (강석율)
25. 왜 민주주의는 미국 신행정부와의 공조에서 핵심적 가치인가?
26. 한미동맹은 북한의 위협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27. 중국의 역내 도전에 따른 한미동맹의 현안은 무엇인가?
28. 한미일 협력의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29. 미북 비핵화 협상 재개와 관계 개선은 가능한가?

에필로그
부 록
저자소개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월간 북한동향 2025년 4월
이전글 북한 세습정권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