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북한 정권이 강조하고 싶은 주요 정책이나 상징은 어김없이 우표에 반영되었다. 김정은이 2024년 1월 선언한 《지방발전 20×10정책》은 동년 5월 관련 선전화와 김정은 사진이 활용된 우표들로, 김정은이 오랜시간 공을 들여 2025년 6월 준공한 《원산갈마 해안관광지구》는 동년 8월 해당 지역 곳곳을 홍보 팸플렛과 같이 제작된 우표들로 구현되었다. 북한우표는 지도자에 대한 관심도를 끌어올려 위상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2023년 2월, 도안에 ‘김정은의 딸’을 의도적으로 연출하여 세계의 이목을 폭발적으로 집중시킨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17》형 시험발사 성공 기념우표(Sp5458~5464)가 대표적인 사례다. 왕정(王政) 이후에도 소련, 나치 등 전체주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한반도 우편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은 대한민국이 가지고 있다. 만국우편조약에 따른 유엔(UN) 전문기구인 만국우편연합(Universal Postal Union, UPU)에 대한국(大韓國)이란 국호로 1900년 가입했고, 1947년 제12차 파리총회 결정에 따라 우리 국호인 ‘대한민국’으로 회원자격을 승계했다. 반면, 북한은 1974년에서야 UPU에 가입했기에 북한이 남북체제 선전대결에서 늘 강조하는 ‘정통성’ 측면에서 남한보다 못하다. 하지만 북한은 우표 생산 및 보급에는 매우 적극적인 입장으로 우표 발행 종류만 해도 남한의 2배에 달한다. 남북한 우표 발행의 목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우표를 활용한 우편의 체신(遞信) 기능을, 이메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손전화 통보문) 및 각종 인터넷 기반 서비스 등이 대체하는 현실은 북한 또한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우표남발국(Stamp Pandering Countries)’으로 지정될 만큼 꾸준히 각종 우표를 적극 발행하고 있다. 그 이유는 외화벌이, 정권 선전 등 ‘다양한 쓰임새’에 있을 것이다. 타국 외교관 등 외국인의 북한 방문 · 관광코스에 ‘우표전시회 관람’은 당연한 코스다. 2012년 평양의 우표전시관을 우표박물관으로 승격하고, 개성 우표전시관(2018년)과 평양 우표박물관(2019년)을 개건(改建)했다. ‘조선우표’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도 수시로 새단장(renewal)하며, 2020년대부터는 각종 정권 기념일 전후로 ‘인터네트 기념특집’(인터넷 전시회)을 개최하는 등 온라인 상의 우표 활용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북한우표의 가장 중요한 쓰임새는 ‘지도자 우상화’이다. 발행된 우표 상당수가 지도자의 위대성을 직 · 간접적으로 찬양하고, 지도자에 맞서는 대상은 악마화시킨 우표이다. 「만국우편협약 및 최종의정서」 제6조 제5항 제4호에서는 우표의 디자인에 “국가에 대하여 적대성을 지닌 정치적 인물이나 주제는 배제된다”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미(反美), 반일(反日)을 주제로 한 북한우표는 수없이 발행되었다. ‘남조선 인민이 북한의 지도자를 흠모하고 찬미’ 혹은 ‘남조선 인민이 대한민국 정부를 배격’하는 모습을 부각하여 연출한 우표도 많다. 6 · 25 전쟁을 ‘북침(北侵) 받았으나 결국 영광스러운 승리를 맞은 사건’으로 그려내는 등 일어나지 않은 각종 역사적 사실을 조작(造作) 및 왜곡한다. 우표를 활용하여 북한 지도자의 권력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정치적 상징조작(象徵操作)의 일부이다. 본서에서는 북한우표가 첫째, 정례적으로 발행되며, 둘째, 정권 핵심 선전선동부의 지도 아래 제작되고, 셋째, 발행 소식이 대내외에 대서특필되기에 북한의 대표적인 선전물이라 본다. 각종 지도자의 지시 내용을 담고, 지도자를 위한 희생자들을 기리며 지도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복종을 고무추동하고 있기에 선동의 기능도 강력히 수행하고 있다고 본다. 선전선동 우표에 나타난 정치적 상징조작은 정권의 안정적 운영과 세습에 기여했다고 상정한다. 상징조작을 파악하는 작업은 지도자별 권력의 역사 및 우표사(郵票史) 정리와 동시에 정치적 목적을 분석하는 일이다. 이를 통해 북한이 정권을 어떻게 유지하고자 했는지 유의미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북한의 ‘의도’를 조망(眺望)할 때, 하나의 나이테(tree-ring)를 형성함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상징조작을 활용했는지를 추적하여 ‘정권의 의도를 읽고, 더 나아가 한반도의 미래를 예측하는 수단’으로 북한우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서는 북한의 선전선동 우표에 나타난 정치적 상징조작을 분석하고 함의를 위해 서론과 7개의 장으로 구성한다. 서론에서는 우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1900년 아이티-도미니카 공화국 간의 우표전쟁, 1940년대 나치에 대한 미국의 우표심리전, 남북한 및 일본의 독도우표 분쟁, 2020년대 현재진행형인 우크라이나 전쟁의 선전선동 우표 활용을 살펴보며 우표의 영향력과 의도 등을 확인한다. 제1장에서는 북한우표를 정의하고, 북한우표가 어떻게 계획되고 발행되고 활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북한의 선전선동 이론을 정리하고, 소련과 나치 등의 전체주의 체제 선전선동(agit-prop)과 우표 활용을 소개한 뒤, 분석틀로 적용할 ‘정치적 상징조작 이론’에 관하여 서술한다. 제3장부터 제5장은 북한의 지도자별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발행된 지도자 상징 우표, 직관선동 우표, 예술선동 우표 등의 선전선동 우표를 분석한다. 제3장은 우표에 나타난 김일성을 ‘위대한 어버이수령’으로 정의하고, 1946년부터 1974년까지 발행된 선전선동 우표를 추적한다. 제1절에서 김일성의 유일사상체계 구축과 지도자 상징 우표의 상관관계 및 연혁을 기술하고, 제2절에서 김일성의 교시 및 법령 등 ‘말과 글’을 직관화하여 구현한 우표와 제3절에서 김일성의 위대성을 예술작품화 한 우표의 상징조작 방식을 살펴본다. 제4장은 우표에 연출된 김정일을 ‘위대한 장군’으로 정의하고, 1975년부터 2010년까지 발행된 선전선동 우표를 추적한다. 제1절에서 ‘후계자 김정일’이 후계 확립 및 권력 세습 과정에서 활용한 김일성의 위대성과 자신의 정치적 정당성에 관한 정치적 상징에 대하여 서술하고, 제2절에서 당 결정, 교시 및 법령 등 김정일의 ‘말과 글’을 직관화 한 우표와 제3절에서 지도자 찬양 음악의 악보와 공연 등을 도안으로 구현한 우표에 나타난 상징조작을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김정은 정권이 ‘선대 지도자 상징조합’으로 만들어졌음을 지적하며, 김정은의 권력승계 과정과 이에 활용된 선전선동 우표에 대하여 분석한다. 제1절에서 비교적 짧은 권력승계 기간을 가진 김정은이 활용한 선대 지도자 상징의 특징을 기술하고, 김정은이 부각하고자 하였던 포용성과 강인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제2절에서는 김정은의 통치방식과 교시, 법령을 직관화 한 우표와 제3절에서 선대 지도자들의 업적을 미술작품으로 구현하고, 찬양음악 및 공연을 도안으로 활용한 선전선동 우표에 대하여 서술한다. 제6장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북한의 상징조작을 유형화하여 분석한다. 제1절에서는 당, 정, 군 등 정권 상징과 지도자를 일체화하는 상징조작을, 제2절에서는 지도자 및 가족의 역사를 위대하게 보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작과 이를 기념하며 사실화하는 상징조작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3절에서는 공화국 영웅의 희생과 지도자의 지시에 대한 절대복종 등을 부각하여 지도자를 ‘복종과 희생의 대상’으로 만드는 상징조작을, 제4절에서는 정권의 안정적인 세습을 위한 정당성을 마련하는 ‘통치정당성 독점’으로 이루어진 백두혈통 상징조작을 살펴본다. 제7장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북한의 선전선동 우표를 통한 상징조작 분석을 종합적인 견지에서 정리하고 함의를 도출한다. 본서는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 해란연구총서 시리즈의 제7권으로서, 새로운 시각으로 북한을 바라보는 창(窓)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표로 북한의 상징조작과 조작(造作)의 진의(眞意) 꿰뚫기’는 기존 학계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접근방법인 만큼, 수많은 분야별 전문가들의 감수와 도움이 있었다는 점 또한 알리고 싶다. 각 분야 전문가의 직 · 간접적 도움으로 인하여 북한의 정치, 사회, 경제, 사회, 국방 분야의 우표에 담긴 의미를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 규정」 제3조(목적)에서 명시하고 있는 ‘북한 융복합 및 통섭(統攝, Consilience) 연구로 남북한 통일에 기여’라는 연구원 목적 달성을 위한 또 한걸음일 수 있다. |
---|
목차 |
서장
우표를 매개로 ‘권력의 의도’ 읽기 1 왜 우표에 집중해야 하나 4 1) 우편 기능보다 중요한 우표의 기능 ·················································4 2) 선전선동 우표의 역할 ··································································7 3) 선전선동 우표와 상징조작 ··························································11 2 우표는 어떤 힘을 가지고 있나 13 1) 아이티-도미니카 공화국 전쟁의 단초(1900) ·································14 2) 나치에 대한 미국의 위조우표 심리공작(1942~1944) ·····················15 3) 남북과 일본 간의 독도우표 발행 분쟁(1954~2005) ·······················17 4) 우크라이나 전쟁의 사기진작 선전물(2022~2025) ·························22 3 어떻게 우표에 접근하고 분석했나··············································24 1) 북한우표 접근방법24 2) 북한우표 분석대상과 방법27 제1장 북한우표는 무엇인가 1 북한우표의 정의와 역사 32 1) 북한우표의 개념········································································32 2) 북한우표와 우정당국의 역사42 3) 북한우표의 제작 및 보급조직47 2 북한우표의 발행과 활용 49 1) 북한우표와 발행계획과 발행결과49 2) 북한우표의 발행정책53 3) 발행된 북한우표의 활용방식56 제2장 북한의 선전선동 우표와 상징조작 1 북한의 선전선동 이론 66 1) 북한의 선동과 선동사업67 2) 북한 선전과 선전사업69 3) 북한 선전과 선동의 비교71 4) 북한 선전선동사업의 종류와 우표활용73 2 전체주의 선전선동(agit-prop)과 우표79 1) 아지프로와 선전선동 우표79 2) 소련형 아지프로론과 우표83 3) 나치형 아지프로론과 우표88 3 정치적 상징조작 이론·····························································90 1) 상징주의 이론과 북한 지도자 상징분류91 2) 권력찬양(miranda) 상징조작 이론93 3) 권력신뢰(credenda) 상징조작 이론95 4) 분석틀97 제3장 우표(1946~1974)에 그려진 ‘위대한 어버이 수령 김일성’ 1 김일성 유일사상체계 구축과 지도자 상징 우표102 2 김일성의 ‘말과 글’을 직관화한 우표109 1) 김일성 교시의 직관화109 2) 김일성 법령의 직관화122 3 김일성과 가족의 ‘위대성’을 예술작품화한 우표127 1) 김일성 혁명과 가족의 위대성 미술작품화128 2) 김일성 혁명의 조형예술화134 3) 김일성 제작 공연예술의 선전물화139 제4장 우표(1975~2010)에 연출된 권력세습과 ‘위대한 장군 김정일’ 1 김정일의 후계 확립과 지도자 상징 우표146 1) 김정일이 활용한 김일성의 위대성147 2) 김정일이 부각한 정당성과 위대성157 2 김정일의 ‘말과 글’을 직관화한 우표··········································164 1) 김정일 교시의 직관화164 2) 김정일 법령의 직관화179 3 김정일과 김일성의 ‘위대성’을 찬양한 우표182 1) 지도자 찬양의 음악화182 2) 지도자 찬양의 공연화191 제5장 우표(2011~2024)에 각종 상징이 조합된 ‘최고령도자 김정은’ 1 김정은의 권력승계와 지도자 상징 우표201 1) 김정은이 활용한 선대 지도자의 위대성201 2) 김정은이 부각한 지도자의 면모210 2 김정은의 ‘말과 글’을 직관화한 우표220 1) 김정은 통치방식의 직관화220 2) 김정은 교시의 직관화226 3) 김정은 법령의 직관화236 3 김정은 정권과 선대 지도자의 ‘위대성’을 찬양한 우표239 1) 선대 지도자 업적의 미술작품화239 2) 지도자 찬양의 음악화246 3) 정권 찬양의 공연화251 제6장 북한의 선전선동 우표를 활용한 상징조작 유형 분석 1 ‘정권 상징물과 지도자 일체화’ 상징조작····································257 1) 당 상징과 지도자 일체화257 2) 정권(국가) 상징과 지도자 일체화264 3) 무력 상징과 지도자 일체화268 2 ‘역사조작 및 기념을 통한 사실화’ 상징조작278 1) 지도자 찬양의 역사조작 및 기념우표279 2) 지도자 업적의 역사조작 및 기념우표284 3) 지도자 가족의 역사조작 및 선전295 3 ‘복종 희생의 대상’ 상징조작300 1) 조국통일 과업을 위한 지도자 복종300 2) 공화국 영웅의 지도자를 향한 숭고한 희생302 3) 지도자 신년사에 대한 절대복종307 4 ‘통치정당성 독점’ 백두혈통 상징조작309 제7장 마치며: 북한권력 조작(造作)역사의 나이테(tree-ring), 우표 |
---|
다음글 | 한국의 핵안보 프로젝트 2 |
---|---|
이전글 | 반도의 붉은 별: 소설 박헌영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