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북한군사론

상세내역
저자 권지민 , 권영석 , 지효근 , 이윤규 , 박동순
출판연도 2025년 08월 28일
출판사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쪽수 236
키워드 #북한정치   #북한군사   #조선인민군   #사이버전   #안보
조회수 42
상세내역
저자 소개
[권지민]
육군3사관학교 졸업
연세대 정치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육군3사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학과장(현)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현)
한국정치학회 이사(현)
저서·논문 『알기 쉽게 풀어쓴 북한학 입문서』 등 다수

[권영석]
육군사관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졸업(공학박사)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학과장(현)
미래군사학회 이사(현)
육군 교육사령부 교리연구위원(현)
저서·논문 『연대장의 아침을 여는 편지』 등 다수

[지효근]
육군사관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학과장(현)
상명대학교 국가안보학과 초빙교수
육군사관학교 정치사회학과 강사/전임강사
주레바논 국방무관, 미 육군 기동센터 교환교관
저서·논문 『협력적 자주국방』 등 다수

{이윤규]
육군사관학교 졸업
경남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합참대 작전학처장/교수
경남대/부경대/용인대학원 교수)
합동군사대학 명예교수(현)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연구본부장(현)
저서·논문 『관계의 심리전』 등 다수

[박동순]
육군3사관학교 졸업
경남대 대학원 졸업(정치학 박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국제분쟁사 부장
숙명여대/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겸임교수
한성대 국방과학대학원 교수, 안보정책학과장(현)
저서·논문 『군사학개론』, 『국제분쟁과 평화활동』 등 다수

상세내역
주요내용
김정은이 집권한 북한은 국제사회의 우려와 제재에도 불구하고 핵 무 력을 완성하였고, 장거리탄도미사일(ICBM)을 전력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은 러시아에 탄약과 무기를 제공하고, 군대를 파병하여 큰 우려와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은 남북관계를 ‘전쟁 중인 두 국가’로, ‘제1의 적대국가’로 지칭하며 통일 개념을 폐기하고 유사시 대한 민국의 평정을 선언했습니다.

이처럼 한반도의 안보가 엄중한 시기에 한국군사문제연구원에서는 21 세기 김정은이 지휘하는 북한군의 실체와 위협에 대한 『북한군사론』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3부로 구성하여, 제1부에서는 북한의 정 치와 군의 관계 및 군사사상을 전제하고, 제2부에서는 북한군의 조직과 체계, 육·해·공군 및 전략군 등 재래식 군사력과 핵 미사일 등 비대칭 군사력의 위협을, 제3부에서는 북한군의 심리전, 사이버전, 전자전 등 비물리적 위협 등을 망라하였습니다.

이 책의 특징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의 군사적 실 체에 총체적으로 접근하여 군사적·비군사적, 물리적·비물리적 능력과 위 협을 궁금하게 여기는 독자들에게 매우 요긴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 책 은 대학 및 대학원의 북한학 연구자는 물론, 군의 중추인 간부, 군사학과 학생 및 사관학교 생도들에게도 현재와 미래에 대적해야 할 북한군의 실 체와 위협을 공부하는 개론서이자 총서가 될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 김정은 시대 북한군의 실체와 능력, 위협에 대해 최신의 자료와 현황을 습득함으로써 대적 군사대비계획을 발전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와 통 찰력을 제공하길 바랍니다.
상세내역
목차
제1부 북한의 정치와 군사
제1장 북한의 정치체제와 전략문화
제1절 북한의 정치체제
제2절 북한의 법 체계
제3절 북한의 전략문화

제2장 북한군의 정체성과 구조
제1절 조선인민군의 창군 과정
제2절 조선인민군의 정체성
제3절 북한의 당-군 관계
제4절 조선인민군 구조

제3장 북한군의 사상과 정책
제1절 군사사상과 군사정책 개념
제2절 북한의 군사사상
제3절 북한의 군사정책

제2부 북한의 군사적 위협
제4장 북한군 군사제도와 군수산업
제1절 북한군 주요 조직
제2절 북한의 병역제도
제3절 북한군 관련 산업

제5장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과 위협
제1절 북한 재래식 군사력의 이해
제2절 군사력의 개념과 평가 방법
제3절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 수준과 평가
제4절 남북한 군사력 비교와 북한군 위협

제6장 북한의 비대칭 전력과 위협
제1절 안보환경 변화와 북한의 비대칭 위협
제2절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제3절 북한의 비대칭 전력
제4절 북한의 하이브리드전과 인지전
제5절 북한 비대칭 위협의 평가와 대응

제3부 북한의 비물리적 위협
제7장 북한의 심리전 위협
제1절 심리전 개요
제3절 북한의 전시 심리전

제8장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
제1절 사이버전의 개요
제2절 북한의 사이버전 전략과 수행목표
제3절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

제9장 북한의 전자전 위협
제1절 전자전의 개요
제2절 북한의 전자전 역사와 인식
제3절 북한군 전자전의 대남 위협요인
제4절 사이버전과 전자전의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