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동맹 정책은 강대국 정치를 소환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주요 국가들의 전략적 자율성을 중시하는 자강의 시대를 열어 놨다.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으로 강대국 국제정치와 자강의 안보 시대가 동시적·복합적으로 작동하는 국제관계가 열렸다. 강대국의 시대와 자강의 시대가 동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국제 정세는 강대국 경쟁 격화를 추동하는 동시에 약소국의 국익을 희생으로 하는 강대국 협조 시대도 예고한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도 동맹 못지않게 안보적 자강이 중요하다. 얽힘의 한반도 국제정치에서 이 책이 한반도 평화와 안보를 위한 자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연루의 딜레마를 최소화하는 전략적 사고를 배양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오늘날 국제 정세의 흐름을 제대로 이해하고 한반도 국제정치와 관련된 정책 실무자 그리고 한반도 평화 안보를 갈망하는 독자 여러분께 일독을 권한다. 특히, 이 책의 저자인 이수형 박사는 드물게 보는 한국의 나토 전문가로 그의 정책 실무 경험과 전문적 이론은 나토의 발전과 변화 그리고 한국과 나토 간 안보협력을 이해코자 하는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추천사 中_국회의원 박선원) 2025년 1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정세가 심하게 요동치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와 동맹의 방위비 분담의 불균형 구조 그리고 중국의 영향력 확장을 막겠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정책과 중국 정책은 나토의 변화와 유럽의 안보 지형 그리고 인도 태평양 전략을 위한 새로운 동맹체제의 변환을 강하게 추동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의 국제 정세는 가히 트럼프의 안보 동맹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전후로 미국발 안보 동맹 정책이 국제 정세의 흐름에 미치는 주요 변화의 맥을 짚어낸 책이다. 이 책은 나토의 변화,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 정책 그리고 한반도 국제정치의 주요 쟁점을 일종의 칼럼 형식으로 그려내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전문 학술서가 아니다. 이 책은 그동안 저자가 발간했거나 새롭게 연구한 글들을 엮어 책으로 만든 것이다. 특히, 이 책은 저자의 핵심 전공영역인 나토의 변화를 그려내면서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계기로 유럽과 아시아 그리고 한반도 관련 국제 뉴스를 장식했던 주요 주제들을 엮은 글이다. 아무쪼록 단편 수필이나 칼럼과 같은 이 책의 주제들이 나토에 대한 이해,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 정책 그리고 한반도 평화 안보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조금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머리말 中_저자 이수형) |
---|
목차 |
서론. 나토, 트럼프 행정부, 한반도
PART 1. 나토에 대한 기본적 이해 CHAPTER 1. 회원자격 조건과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CHAPTER 2. 나토 본부와 정치구조 CHAPTER 3. 군사구조와 작전통제권 CHAPTER 4. 전략개념의 변화와 전략적 파트너 CHAPTER 5. 방산 관련 주요 위원회와 기관들 PART 2. 나토의 변화와 글로벌 질서 경쟁 CHAPTER 6. 핵 공유와 나토 핵기획그룹(NPG) CHAPTER 7. 지역동맹에서 글로벌 동맹으로의 진화 CHAPTER 8. 강대국 지정학 정치와 우크라이나 전쟁 CHAPTER 9. 정상회담의 정례화와 2025년 헤이그 정상회담 CHAPTER 10. 글로벌 질서 경쟁과 동맹체제 강화 PART 3. 트럼프 시대 유럽과 인도 태평양 안보 CHAPTER 11. 패권 축소와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 기조 CHAPTER 12. 화성인의 유럽 안보정책과 방위비 분담 CHAPTER 13. 금성인 유럽 동맹국의 안보 홀로서기 CHAPTER 14. 트럼프 행정부의 인도 태평양 전략, 중국 봉쇄 CHAPTER 15. 나토의 대중(對中) 인식, 체제적 경쟁자에서 안보 위협자로 PART 4. 강자와 자강의 시대, 한반도 평화 안보 CHAPTER 16. 국익 중심 실용 외교와 안보 동맹 정책 CHAPTER 17. 동맹 재조정, 노무현의 기억과 이명박의 전략동맹 CHAPTER 18. 한국의 나토 접근과 정책 방향 CHAPTER 19. 북미 핵 협상과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 CHAPTER 20. 평화 지향의 안보 체제와 작전통제권 환수 결론. 공존의 남북 관계와 호혜적 한미동맹의 선순환 구도 |
---|
다음글 | 기억된 전쟁 만들어진 중국 - 항미원조의 문화정치학 |
---|---|
이전글 | 한국전쟁과 포로수용소 소개민·이방인·포로들의 기억과 기록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