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정치/군사

한국전쟁과 포로수용소 소개민·이방인·포로들의 기억과 기록

상세내역
저자 박정석
출판연도 2025년 08월 30일
출판사 민속원
쪽수 368
키워드 #포로수용소   #거제도   #한국역사   #미군   #피난민   #박정석
조회수 14
상세내역
저자 소개
경남 통영 한산도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인도 하이데라바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목포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전쟁과 기억』(공저), 『전쟁과 사람들』(공저), 『식민 이주어촌 의 흔적과 기억』 등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전쟁의 참상과 일화는 누가 기록하고 기억하는가에 따라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재현된다
포로수용소가 설치되면서 제 땅에서 강제로 쫓겨났던 소개민들, 포로수용소 주변에서 삶을 영위했던 이방인들, 그리고 포로수용소에 수용되었던 전쟁포로들은 공식적 기록은 물론 기억에서도 소외되고 배제 되었던 사람들이다. 개인들의 전쟁 경험은 기억과 구술을 통해 기록되고 재현된다. 전쟁의 경험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행위는 기억을 역사화하는 작업이다.
한국전쟁 시기 거제도와 한산도 지역에는 기관의 성격과 수용 대상이 서로 달랐던 세 부류의 ‘수용소’가 설치되었다. 전쟁 포로들을 격리 수용했던 포로수용소, 포로수용소가 설치되면서 그 땅에서 쫓겨났던 주민들을 위한 소개민 수용소, 그리고 전쟁의 와중에 이북에서 내려왔던 피난민들을 수용했던 피난민 수용소가 있었다.ㄴ
상세내역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총론

제1부 소개민들

제1장 거제도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1. 지역 소개
2. 거제도 포로수용소
3. 주민 강제 소개
4. 소개민 생활
5. 집과 마을 복구

제2장 저구리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1. 지역 소개
2. 저구리 포로수용소
3. 소개민 생활
4. 소개민과 양공
5. 집과 마을 복구

제3장 용초도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1. 지역 소개
2. 용초도 포로수용소
3. 소개민 생활
4. 집과 마을 복구
5. 인근 마을 사람들

제4장 봉암도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1. 지역 소개
2. 봉암도 포로수용소
3. 소개민 생활
4. 집과 마을 복구
5. 인근 마을 사람들


제2부 이방인들

제5장 거제도의 이북 피난민
1. 거제도의 피난민
2. 이북 피난민이 마주했던 거제도
3. 지역민이 마주했던 피난민들
4. 피난민들의 삶터, 양키 시장
5. 전시의 교육 공간, 피난민 학교

제6장 포로수용소 주변의 양공주
1. 미군과 양공주
2. 거제도 포로수용소 인근의 양공주
3. 저구리 포로수용소 인근의 양공주
4. 용초도ㆍ봉암도 포로수용소 인근의 양공주
5. 떠나야만 했던 이방인

제7장 섬사람들이 조우했던 미군들
1. 색다른 이방인
2. LST를 타고 온 미군
3. 여자를 탐하는 미군
4. 물자가 풍족했던 미군
5. 점령군이었던 미군


제3부 포로들

제8장 거제도 포로수용소 이전(以前): 포로 관리와 포로들의 신체
1. 포로 경험자들의 이야기
2. 포로 ‘수집’에서 ‘수용’으로
3. 수용소에 구획된 포로들
4. 통제되었던 포로들의 신체
5. 철조망 안의 지배자들
6. 거제도로 이송

제9장 거제도 포로수용소 시기: 포로 교화와 이념투쟁
1. 대립의 공간
2. 포로 재교육 프로그램
3. 포로수용소 내 기독교 선교
4. 전범조사단과 반공청년단
5. 폭력의 일상화
6. 포로 분산

제10장 거제도 포로수용소 이후(以後): 포로의 정치적 도구화
1. 정치와 포로
2. 송환거부포로 분산 수용
3. 민간인 억류자 석방
4. 반공포로 석방
5. 또 다른 대결의 장, 판문점
6. 침묵과 기억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