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내용 |
『문화로 포장된 안보』는 군사 중심의 안보 개념을 넘어, 문화·언론·대중산업이 어떻게 안보 담론을 재구성하는가를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한반도의 긴장과 평화가 단지 무기나 외교 전략의 결과가 아니라, 드라마·뉴스·대중음악·정치언어 속에서 형성되는 ‘감정의 전쟁’임을 밝힌다. 한류는 세계를 사로잡았지만 동시에 북한에는 사상적 위협으로 작동한다. 이 역설적 관계를 통해 저자는 ‘문화 안보(Cultural Security)’라는 새로운 분석 틀을 제시하며, 한국 사회가 직면한 안보·정체성·문화의 삼중 구조를 날카롭게 해부한다. 이 책은 정책학자, 언론인, 문화기획자, 대북전략 연구자들에게 ‘안보를 말하는 새로운 언어’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문화정치학의 필독서다. ---------------------------- “안보는 더 이상 탱크와 미사일의 숫자로 설명되지 않는다.” 『문화로 포장된 안보』는 군사와 외교의 차가운 언어로만 규정되어온 ‘안보’를, 문화와 감정, 언어와 서사의 세계로 확장해 새롭게 조명한다. 드라마 한 장면, 노래 한 구절, 뉴스의 단어 하나까지가 어떻게 국가 정체성과 대북정책을 재구성하는지를 치밀하게 분석한다. 기자이자 정치학자인 저자는 “문화는 총보다 느리지만, 더 깊게 체제를 흔드는 무기”라 말하며, 한국 사회가 직면한 ‘문화 안보’의 실체를 탐색한다. 이 책은 한반도의 안보를 바라보는 낡은 시선을 깨고, 문화와 정체성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한다 |
||
|---|---|---|---|
| 목차 |
1. 문화 안보란 무엇인가? 14
가. 문화 안보의 개념과 이론적 기초 15 나. 문화 안보의 분석 틀과 다층 구조 28 다. 문화 안보의 정책적 함의와 연구 과제 40 2. 대북정책은 어떻게 담론이 되는가? 60 가. 담론의 이론적 성격과 구성 메커니즘 61 나. 정권별 담론 전략과 서사 경쟁 67 다. 담론의 정치적 효과와 사회적 수용 75 3. 언론은 북한을 어떻게 프레이밍 하는가? 84 가. 언론 프레이밍의 이론적 메커니즘과 기능 85 나. 보수·진보 언론의 대북 프레임 대립 구조 94 다. 언론 프레임의 사회적 효과와 문화적 보안화 103 4. 대중문화는 북한을 어떻게 상상하는가? 116 가. 대중문화의 북한 재현과 상상력 118 나. 장르별 북한 재현의 스펙트럼 125 다. 문화적 탈 무장과 전략적 대상화 134 5. 시민사회와 문화정치 145 가. 시민사회의 문화정치 참여 구조 146 나. 다양한 주체들의 문화적 실천 152 다. 시민사회의 안보 담론 재구성 능력과 한계 160 6. 한국과 일본의 공공외교 전략 비교 169 가. 동아시아 문화 안보 구도와 공공외교 170 나. 일본의 ‘Cool Japan’ 전략 177 다. 한국의 한류 외교 186 라. 공공외교 추진체계 비교 196 마. 문화-안보 연계 방식의 차이 203 7. 문화는 안보를 대체할 수 있는가? 215 가. 이론적 기초: 문화와 안보의 재개념화 216 나. 문화정치의 안보적 실천 222 다. 시민사회와 평화 상상력 226 라. 연구 방법과 분석 틀 232 마. 결론: 문화 주도형 평화 전략의 가능성 238 8. 문화 안보 시대의 한국 대북정책과 동아시아 비전 244 가. 연구 성과와 학문적 의의 245 나. 정책적 시사점과 제언 248 다. 한국의 미래 비전과 결론 252 라. 마치며: 한국 대북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문화 안보적 전환 255 9. 에필로그–문화 안보 시대의 연구자로서 260 |
||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