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내용 |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북한과 미국 사이의 거친 설전, 남북한을 둘러싼 국내외 세력들의 대립 등으로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정국은 극단적인 대립과 애매한 평화 사이에서 요동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의 가능성은 아직도 멀어 보이고 ‘군사 옵션’의 가능성이 끊임없이 회자되는 지금, 한반도가 전쟁에 휩싸일 것이라는 두려움 또한 커져 간다. 우리는 한반도 평화의 시계가 여전히 안개 속에 있는 이 위기의 시대를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하는 것일까. 무엇보다 이 위기의 근원은 무엇이고 앞으로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전쟁의 기억과 분단의 미래』는 전쟁의 기억을 되살리고 평화를 향한 길을 다듬기 위한 디딤돌이 될 책이다. 이 책은 『한국전쟁의 기원』으로 한국전쟁과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꿨던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학 석좌교수가 새로운 사료를 반영하고 아주 쉬운 필치로 써내려 간 역작이다. 저자는 한국전쟁의 발단과 전개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부터 ‘저항세력’과 ‘부역세력’ 사이에서 벌어졌던 대립,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에 의해 추진된 일본과 남한에서의 조치, 북한과 중국?러시아 사이의 관계 등 다양한 요소들의 영향을 되돌아보며, 이후 분단이라는 형태로 고착된 대결이 어떻게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지 폭넓게 살펴본다. 그리고 이 대립의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지 않는 이상, 그 연장선상에서 지속되고 있는 한반도 위기를 풀 해법도 찾을 수 없다고 말한다.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은 분단이 고착되어 냉전이 만성화된 한반도에서 우리가 어떻게 해야 평화의 길을 걸을 수 있을지 알려 준다. 바로 현재의 우리를 만든 분단과 전쟁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한국전쟁을 둘러싼 기억을 다시금 살려 내고 이를 잊지 않기 위해 분투할 때에야 우리는 현재와 같은 분단 상태를 딛고 평화를 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
|---|---|---|---|
| 목차 |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에 관한 찬사 _ 4
한국의 독자들에게 _ 9 들어가며 _ 18 1장 전쟁의 전개: 발발에서 휴전까지 _ 29 재래식 전쟁이 시작되다 _ 34 “중국인의 인해”: 북진 _ 55 중국이 가까이 있다 _ 57 전쟁의 연장 _ 66 2장 억압과 저항의 기억 _ 73 기원과 시작 _ 81 취해진 조치 _ 86 꼭두각시 _ 91 소련과 김일성 _ 97 3장 한국전쟁은 어떻게 잊혔나 _ 101 내전 _ 107 오, 얼마나 문학적인 전쟁인가 _ 111 중국인의 시각 _ 124 4장 반공주의 그리고 기억의 왜곡 _ 127 억압의 본능 _ 139 동양, 서양, 그리고 억압: 훌륭한 자들이 고정관념을 만드는 방식 _ 150 그림자가 드리우다 _ 156 5장 38도선 분리: 잊힌 점령 _ 159 군정 시기 한국 남서부 _ 173 삼척의 해방 _ 178 제주반란 _ 181 여수반란 _ 194 38도선을 따라 벌어진 전투 _ 202 6장 초토화된 한반도: 공습의 여파 _ 211 궁극의 폭격 _ 221 보랏빛 잿더미 _ 224 7장 학살의 기억 _ 229 정치적 계보, 혈연의 계보 _ 239 진실은 무엇인가? 한국의 스레브레니차 학살 _ 241 취해진 조치: 한국전쟁 중 남서부 _ 248 미스터 학살자 _ 253 북한이 저지른 잔학 행위 _ 256 취해진 조치: 북한 지역 점령 _ 262 전쟁의 유령들 _ 273 조사의 진실과 정치적 거짓말 _ 276 8장 ‘잊힌 전쟁’은 어떻게 미국과 냉전을 바꿔놓았나 _ 279 조지 케넌과 딘 애치슨 _ 283 군산복합체 _ 286 제국의 군도 _ 294 케넌인가, 애치슨인가? _ 297 9장 진혼곡: 화해의 길에 들어선 역사 _ 301 미국: 진혼곡은 없다 _ 307 두 개의 기억술: 한국과 이라크 _ 311 화해의 분위기 _ 314 감사의 말 _ 326 연표 _ 327 미주 _ 329 더 읽을거리 _ 375 찾아보기: 개념 및 내용 _ 385 찾아보기: 인명 _ 403 |
||
|---|---|---|---|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
| 이전글 | 6월의 폭풍 3 제3부 지옥에서 천국으로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