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한반도의 기억 -- 한국 전쟁이 빚어낸 인간의 얼굴들

상세내역
저자 전순영
출판연도 2025년 09월 05일
출판사 한울아카데미
쪽수 472
키워드 #한국전쟁   #한반도   #전쟁기억   #트라우마
조회수 33
상세내역
저자 소개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숭실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로 기독교통일지도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북한, 통일, 탈북민과 관련된 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면서, 전환기 정의, 용서와 화해, 트라우마 치유, 갈등전환을 주제로 한 인문학적 연구에 힘써왔다. 현재 숭실평화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 한반도평화연구원(KPI) 연구위원, 한하나로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주요 저서로 『화해 정의 연대』(공저), 『남북의 통합과 인문적 시야』(공저) 등이 있으며, 다수의 논문이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이 책은 한국사회가 지금도 전쟁의 기억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진단하에 그 치료방법으로 전쟁을 재기억화하고자 시도하며, 이 과정을 통해 외상후 성장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전쟁을 어떻게 기억하느냐 하는 것은 대한민국이 어떤 정체성을 갖느냐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저자는 전쟁을 가해자와 피해자로만 구분할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층위의 전쟁기억을 인정하고 수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트라우마의 원인인 전쟁을 기억하되, 정의와 평화, 자유와 민주주의의 발전, 인권의 향상, 사회 구성원들의 성장을 재기억화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을 화해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사회학적 관점과 인문학적 관점을 혼합한다. 특히 전쟁의 보다 미시적인 측면으로 들어가기 위해 소설, 수기 등의 개인 서사를 많이 차용하고, 시, 노래,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장르를 인용한다. 이 책은 한국전쟁이 개인의 삶에 어떤 흔적을 남겼는지 살펴봄으로써 전쟁에서 지워지고 묻혀버린 ‘사람의 얼굴’을 찾고, 고통의 연대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고자 한다.
상세내역
목차
제1장 왜 지금, 다시 한국전쟁인가
제2장 한반도의 트라우마
제3장 역사적 트라우마 기억
제4장 한국전쟁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는가
제5장 전쟁이 빚어낸 인간의 얼굴들
제6장 외국인들이 겪은 한국전쟁
제7장 북한사회의 전쟁기억
제8장 함께 살아갈 한반도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캠프 15 (1)
이전글 북한 체제의 닫힌 일상과 흔들리는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