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남북이산가족 기념관 건립과 동화경모공원 유네스코 등재

상세내역
저자 조용신
출판연도 2025년 08월 14일
출판사 작가와
쪽수 e-book
키워드 #이산가족   # 해방   # 전쟁   # 분단
조회수 21
상세내역
저자 소개
조용신은 서울에서 태어나 국회사무처에서 1978년 8월 공채로 임용되어 2015년 6월까지 약 37년간 근무했다. 부모님이 북청군 덕성면과 속후면 출신인 실향민 2세대 로서, 공직 생활 이후 이북오도민 공동체에 헌신하고자 덕성면민회 회장, (재)북청군 장학회 이사, (사)흥남철수기념사업회 이사, 함경남도 후계세대 경제인회 부회장, 함경남도 중앙장년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활동하고 있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이 책은 70여 년간 이어진 남북 이산가족의 아픔과 역사적 의미를 다룹니다. 약 800만 명의 이북도민과 그 후손들이 겪는 고통을 배경으로, 저자는 직접 관련 단체에서 활동하며 체감한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제기합니다. ‘남북이산가족기념관’ 건립과 파주 동화경모공원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통해 분단의 상처 치유와 평화·화해의 가치를 확산하려는 제안을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기념관이 지향해야할 세가지 핵심 가치인 가족애, 이념 극복, 홍익인간 정신을 논의의 기본 프레임으로 하여 왜 기념관이 필요한가, 그리고 기념관의 운영 방침을 뒷받침할 철학이 무엇인가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분단 이후 7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속된 이산가족의 아픔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민족적 비극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현대사의 중요한 교훈으로서 후대에 전승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남북이산가족 기념관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통일 교육과 세계평화 증진을 위한 국제적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 세계 실향민들과의 연대를 도모하고 미래 세대에게 평화의 중요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말합니다. 가족애와 전통 사상을 통한 이념 갈등 극복, 홍익인간 정신과 현대적 가치의 연결, 해외 실향민 박물관 사례를 분석하며 실향민의 생생한 경험과 역사적 기록을 담는 지속 가능한 기념관 운영 방안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향민 2세대 이후의 세대가 가져야 할 시대적 소명의식과 실천 방안을 저자와 같은 기성세대들이 이끌어줘야 하며, 저자는 이에 대한 실천적 방안들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화경모공원은 실향민의 망향의 한과 분단의 비극을 세계에 알리는 특별한 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 등재가 그 의미를 더할 것입니다.
상세내역
목차
추천사
책을 들어가며
저자소개

1장 서 론: 이산가족 문제의 현실과 의미
1. 나의 가족의 고향

2장 이산가족과 가족애의 의미
1. 이산가족과 가족애의 의미
2. 북청물장수와 가족애, 배움 그리고 홍익인간의 정신

3장 이념 대결의 극복
1. 한반도 이념 갈등의 현주소
2. 해방공간: 이념 갈등의 태동
3. 전쟁, 분단, 이념 갈등의 심화
4. 전통적 가치관과 외래 이념과의 대립

4장 홍익인간 정신의 현대적 의의
1. 홍익인간 정신의 현대적 의의
2. 가족애와 홍익인간의 정신
3. 홍익인간과 외래 이념과의 관계
4. 홍익인간, 시대를 넘어선 지혜
5. 북청물장수 정신과 홍익인간의 정신
6. 홍익인간 정신으로 본 화해와 통합
7. 이산가족 사회의 미래와 홍익인간 정신의 필요성
8. 홍익인간의 정신과 UN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의미와 가치

5장 치유와 화해의 공간, ‘남북이산가족 기념관’
1. 치유와 화해의 공간, ’남북이산가족 기념관‘
2. ’남북이산가족 기념관‘의 의미
3. 해외의 실향민 박물관
가. 보트피플(Boat people)과 베트남 공화국 박물관 (Viện Bảo Tàng Việt Nam)
나. 베트남 문화유산 박물관 (VHM)
다. 독일 베를린의 피난, 추방, 화해재단 실향민 박물관 (SFVV)
라. 주데텐독일인 박물관
마. 그리스 헬레니즘 재단 전시관 (FHW)
바. 터키 이스탄불의 인구교환 박물관
4. 사례들의 분석과 함의
5. ’남북이산가족 기념관‘의 구성
가. 가족관
나. 이념관
다. 홍익인간관
라. 북방경제관

6장 건립 및 운영방안에 관한 실무적 고찰
1. 건립 및 운영방안에 관한 실무적 고찰
2. ’남북이산가족 기념관‘의 위치선정 문제
가. 장단역, 끊어진 철길이 전하는 이야기
나. 철원, 전쟁의 상흔이 새겨진 땅
다. 고성, 만남과 이별이 서린 바닷가
3. ’남북이산가족 기념관‘ 초기 설립과 운영 방안

7장 결론: ’남북이산가족 기념관‘ 건립과 파주 동화경모공원 유네스코 등재
1. 이산가족의 아픔을 넘어 평화와 통일의 미래로
가. ’남북이산가족 기념관‘ 건립
나. 파주 동화경모공원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

참고문헌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해방의 기억
이전글 통일교육 기본계획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