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북한 체제의 닫힌 일상과 흔들리는 미래

상세내역
저자 이화여대 북한연구회 엮음 , 권혜진 , 김미연 , 김엘렌 , 서수정 , 안종숙 , 이경애
출판연도 2025년 08월 31일
출판사 선인
쪽수 225
키워드 #북한사회   # 조직   # 북한주민   # 북한인권   # 김정은   # 이화여대북한연구회   # 체제
조회수 3
상세내역
저자 소개
[권혜진]
통일연구원 감사실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김미연]
한국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개발금융연구센터 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겸임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김엘렌]
(사)한가원 부원장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북한이탈주민학회 부회장

[서수정]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강사
(前) 통일부 해외통일교육위원
(前) 베이징대학교 연구학자

[안종숙]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강사

[이경애]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원광디지털대학교 경제비즈니스 교수
상세내역
주요내용
북한 주민들의 미시적 삶을 세밀히 관찰하고 기록함으로써, 분단의 그늘 너머에서 살아가고 있는 그들의 희로애락을 담아내는 과정에서 무수한 질문을 하나씩 풀어가 보려고 한다. 이는 마치 벽돌 하나하나를 정성껏 쌓아 올리듯, 북한 주민들의 일상을 차곡차곡 축적해 가는 것과 같다. 문득 어느 날 통일이 되었을 때, 북한 주민들의 일상에 놀라지 않고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기를 바라며.
이런 취지에서 올해 7번째 총서는 “북한 체제의 닫힌 일상과 흔들리는 미래”라는 제목으로 북한 주민들의 닫힌 일상 속에서의 사회문화 일상을 기획하였다. 내용은 총 6개 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은 북한 주민의 조직생활과 일상을 생애주기별 근로단체 활동을 중심으로 조망한다. 이 글은 북한 주민들이 왜 집단적 저항에 나서지 않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한다. 제2장은 북한의 민생경제 현황과 핵문제 해결 이후 변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 글은 ‘북한 주민들의 삶이 나아질 수 있을까?’라는 근본적 질문으로 시작한다. 제3장에서는 북한 체제에서 사회안전성의 역할과 반사·비사 투쟁법 제정이 주는 의미에 대해 논한다. 제4장은 북한의 비공식 기업과 군사문화라는 주제를 탐구했다. 제5장에서는 북한 주민의 일상 속 감정 세계를 사상감정 경험을 중심으로 논한다. 제6장은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영어 리포트라는 주제에 대해 논한다.
본 총서의 여섯 편의 연구는 서로 다른 분석 주제로 출발하지만, 모두 북한 주민들의 일상을 담고 있다. 조직화된 삶 속에 내재화된 통제와 불안정한 변혁 가능성 사이에서 주민들은 몸과 마음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단지 북한 체제를 이해하기 위한 교과서적 지식이 아니라 냉엄한 통제와 제도 뒤편에 놓인 북한 주민들의 일상을 되살려낸다. 또한 미시적 관찰과 거시적 맥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북한 주민들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토대를 세우고 있다. 이는 단순한 낙관이나 비관적 관점이 아닌 북한 주민들의 일상 경험을 미래 예측의 출발점으로 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발간사 中)
상세내역
목차
발간사

제1장 북한 주민의 조직생활과 일상: 생애주기별 근로단체 활동을 중심으로 / 권혜진
1. 북한 주민의 삶, 조직 속에 묶이다
2. 일상화된 통제, 북한의 권력 기술
3. 북한 근로단체와 생애주기별 통제
4. 조직이라는 일상의 감옥

제2장 북한의 민생경제 현황과 핵문제 해결 이후 변화 가능성 검토 / 김미연
1. 북한 주민들의 삶은 나아질 수 있을까
2. 김정은 시대 북한의 민생경제 현황 엿보기
3. 중국이 경험한 민영경제 발전 사례의 교훈
4. 북한의 민생경제 변화 가능성과 도전 과제


제3장 북한 체제에서 사회안전성의 역할과 반사·비사 투쟁법 제정이 주는 의미 / 김엘렌
1. 북한의 일상인 ‘통제’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2. 북한 인권 침해의 기능적 역할
3. 반사회주의, 비사회주의에 대한 내용과 법적 제도화의 의미
4. 법시스템의 제도화가 주는 함의

제4장 명령하지 않는 시장: 북한의 비공식 기업과 군사문화 / 서수정
1. 북한 사회를 지배하는 군사문화
2. 북한 군사문화의 형성 과정과 원인
3. 비공식 기업의 조직구조와 군사문화 수용 가능성
4. 실증 분석: 수용되지 않는 군사문화
5. 북한 군사문화의 한계와 시사점

제5장 북한 주민의 일상 속 감정 세계: 사상감정 경험을 중심으로 / 안종숙
1. 이해하기 힘든 한국 사람의 복잡한 감정 세계
2. 권력의 통제 대상이 되는 감정
3. 북한의 사상감정과 사상교양: 요람에서 무덤까지 이어지는 감정 교
4. 북한 주민의 감정 세계: 사적 감정의 미분화와 탈구
5. 다시 감정을 배우다

제6장 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영어 리포트 / 이경애
1.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영어교육의 변화 지속성
2. 북한영어 교육 상황
3. 북한의 디지털 영어교육 현황
4. 북한 영어교육의 개선점
5. 북한 영어교육의 양면성
6. 사회주의 체제 영어교육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