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내용 |
죽느냐 사느냐 갈림길에서 답답하기만 했던 가슴이 후련하게 트이는 속 시원한 장면이었다. 이리하여 적의 거만한 콧대를 꺾어버린 9중대는 사기가 하늘을 찌를 듯 높았다. 중대 인사계 노재돈 일등상사는 민간인 지게로 탄약을 운반하여, 다음 판가름 싸움을 준비했다.
첫 공격에 호되게 얻어맞은 적은 잠시 후 다시 대열을 준비하여 일파만파로 고탄리 넓은 들판에 수백 명의 인민군이 벌떼로 달려들었다. 아군 병사들은 조금도 흔들이지 않고 침착하게 잘 싸웠다. 그러나 8시경에는 탄약이 바닥났다. 그리고 다치고 죽는 병사가 점점 늘어 더 이상 오래 버티기 어렵게 되었다. 아군이 열 배이면 포위하고, 다섯 배면 사방에서 공격하고, 두 배면 일반적으로 싸우고, 대등하면 적을 분산시키고, 적으면 지키고, 적보다 못하면 피해야 한다. 지금 적이 아군보다 세 배나 많다. 적보다 못하니 피해 가면서 싸워야 한다. 이 무렵 모진교를 지키던 제1 소대장 양 소위는 사라지고, 적이 모진교를 차지했다. SU-76 자주포와 야포 등 중장비가 5번 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향하고 있었다. 뒤쪽 도로는 끊기고 적 가운데 외톨이로 남게 되었다. 50쪽 국군 제2대대 수색중대는 급히 대룡산 정상을 향해 달려갔다. 수색 1소대 박노원 소대장도 동면 감정리 느랏재에서 구봉산 기슭으로 올라 뛰다시피 명봉 정상에 올랐다. 대룡산 8부 능선 갈둔고개에서 정상을 향해 올라가려는 적을 만났다. 대룡산 정상을 먼저 차지하려고 전투가 벌어졌다. 이 고지는 대룡산에서 작전상 가장 중요한 요충지로서 어떠한 희생을 치르더라도 확보해야만 했다. 박 소대장은 두려움이 앞섰다. 그때 어머니가 어릴 때 읽어 주시던 성경 말씀이 생각났다. ‘내가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그 말씀을 믿고 기관단총을 쏘면서 적군 앞으로 돌진해 갔다. “돌격 앞으로, 돌격!” 적은 의외로 강력한 기습을 받게 되자 우왕좌왕 허둥대다가 후다닥 도망치기 시작했다. 그는 도망가는 적을 향해 계속 사격을 가하며 돌진했다. 그런데 등 뒤에서 박 소위를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 “소대장님, 소대장님….” 뒤돌아보니 연락병이 총을 맞고 애타게 부르고 있다. 박 소위는 그에게로 달려갔다. 100쪽 |
||
|---|---|---|---|
| 목차 |
내 고향 봄내 여울
1. 박노원 은사님을 찾아서 2. 갑자기 온 선물 해방 3. 원한의 38선 4. 개전 첫날- 6월 25일(일) 5. 개전 둘째 날- 6월 26일(월) 6. 개전 셋째 날- 6월 27일(화) 7. 원창고개의 혈투 8. 붉은 세상으로 바뀌다 9. 강제 부역 10. 다시 찾은 태극기 11. 1·4 후퇴 12. 구걸하는 피란생활 13. 고향으로 돌아오다 14. 50년 후에 만난 김명규 대령 대한민국을 위한 기도 |
||
|---|---|---|---|
| 다음글 | 빛과 그 그림자 - 허묵음 장편소설 |
|---|---|
| 이전글 | 우리도 몰랐던 국호 대한민국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