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사회/문화

북한주민의 가정생활: 국가의 기획과 국가로부터 독립

상세내역
저자 박영자 , 이지순 , 이윤진 , 김란
출판연도 2023년 12월 30일
출판사 통일연구원
쪽수 384
키워드 #북한   #주민   #가정   #생활   #국가   #기획   #독립   #박영자   #이지순   #이윤진   #김란
조회수 73
상세내역
저자 소개
저자(글) 박영자

2004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숙명여대·성균관대·이화여대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며 북한 체제 및 젠더사 연구와 강의를 진행했다. 2013년 이후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으로 북한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 체제 변동, 균열과 통합 등을 연구하고 있다. 통일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지자체 등의 북한통일 분야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북한 기업의 운영실태 및 지배구조》(2016), 《북한인권 제도 및 실태 변화추이 연구》(2016), 《전환기 쿠바와 북한 비교》(2015), 《북한의 시장화와 정치사회 균열》(2015)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김정은 체제의 통치행위와 지배연합〉(2013), 〈독재정치 이론으로 본 김정은 체제의 권력구조〉(2013), 〈체제변동기 북한의 계층·세대·지역 균열〉(2012) 등이 있다.

저자(글) 이지순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학 박사이다. 논저 『북한의 민속』 (공저, 2020), 『북한 여성의 일상생활과 젠더정치』 (공저, 2019), “김정은 시대 국가주의와 문화적 퍼포먼스” (2020), “1950년대 북한의 사회주의미술건설 시기 정현웅의 매체횡단”( 2019), “한(조선)반도 문학예술 개념의 문화정치학” (2019), “김소월 개념의 전유와 분단” (2018)이다.
상세내역
주요내용
이 책은 통일연구원의 북한주민의 가정생활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상세내역
목차
요약

ChapterⅠ 서 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내용과 추진방법

ChapterⅡ 문학적 재현을 통해 본 가정생활
1. 가정-안: 가족관계와 사적 경험
2. 가정-밖: 이웃과 가정생활의 사회적 확장


ChapterⅢ 계층ㆍ지역별 가정생활의 다양한 모습

1. 하층, 농촌과 도시 가정의 사례
2. 중층, 도시와 농촌 가정의 사례
3. 중상층, 도시 가정의 사례

ChapterⅣ 물질환경과 재생산:소비ㆍ양육을 통해 본 가정생활
1. 식생활과 주거
2. 가전과 ICT 제품 구비 및 이용 실태
3. 재생산: 자녀 양육ㆍ교육과 가사를 중심으로
4. 지속과 변화의 양상


ChapterⅤ역할과 관계: 가정 안ㆍ밖의 상호작용
1. 가정-안: 역할과 상호작용
2. 가정-밖: 국가/사회와의 맞물림과 어긋남
3. 국가가부장 담론과 가정
4. 지속과 변화의 양상

ChapterⅥ이행기 중국의 가정생활 변화: 북한에 함의
1. 이행기 급변하는 물질문명
2. 개혁개방이 중국 가정생활에 미친 영향: 반(反)가족주의에서 재(再)가족화로
3. 현 단계 북한 가정생활 변화에 함의
ChapterⅦ 결론: 남북한 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1. 남북한 비교의 시사점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