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일 조선인 병사의 연극
...상황과 심리를 추적하였으며 특히 남북한의 경우는 이들의 작품을 소홀히 다루고 있는 데 비해 연변조선족연극사의 경우 적극적으로 문화적 정체성의 중심으로 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기존에는 특별히 주목된 바 없는 임천의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내 한국광복군 훈련반의 연극 김준엽의 <광명의 길>을 중심으로 일본군 학병으로 징집되었다가 탈출한 조선인 병사가 그 과정을 극화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광명의 길>은 열악한 군대환경 내에서 조선인 병사들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필사의 기획이었다. 실제 사실에 근거한 형상화는 자기표현성과 선전성의 극대화에 대단히 효율적인 방식이었다. 이는 중국군의 지원과 별개로 조선인 병사들이 자신들을 위한 학습과 표현의 노력을 경주하였다는 사실과 아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