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이주민을 위한 문화교육의 한 방향 - <단군신화>·<주몽신화>를 중심으로
...2만여 명의 탈북이주민들이 온전히 살아가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인문학적 사유 방식과 배경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문화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필자가 <통일을 바라보는 인문학> 시민인문강좌를 진행하면서 만났던 탈북수강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한 내용과, <단군신화>・<주몽신화>가 갖는 문화교육 텍스트로서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탈북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문화교육에서 <단군신화>・<주몽신화>가 갖는 의미를 ‘문화정체성 모색을 위한 집단서사로서의 가능성’과 ‘탈북 외상 치유를 위한 개인서사로서의 가능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또한, 탈북이주민 문화교육을...
[학술논문] 김정은 시기 고구려 배경 북한 애니메이션의 특징: 역사만화영화 <고주몽>시리즈를 중심으로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기술이 향상되었다. 또한, 북한이 1970~1980년대에는 고구려 건국을 기원전 1세기로 보았으나, 유일사상체제가 공고히 되며 고구려 지배세력에 대한 비판이 사라지고, 1990년 이후에는 고구려의 건국 연도를 기원전 277년으로 변경하였다. <고주몽> 시리즈는 김정은의 구상으로 제작되었으며, 당의 창작 원칙을 철저히 따르는 집단주의 창작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고주몽>을 역사서의 ‘주몽신화’와 비교한 결과, 해모수에 대한 부분이 큰 비중으로 추가되었고, 이는 해모수와 그의 아들 주몽, 그리고 손자 여달로 이어지는 삼대의 서사로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북한이 주장하는 예술적 허구와 사실주의가 객관적 사실이 아닌 창작자의 주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