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핵의 국제정치와 한국의 딜레마
...대해 인내를 지나 묵인하기로 한 것인가?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본고는 이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먼저 북한의 핵전략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동아시아 국제체제 전환과정을 배경으로 4강의 동아시아 정책과 북한 핵에 대한 대응전략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미국은 세력재균형 정책을 바탕으로 인내전략, 중국은 세력팽창 정책을 바탕으로 분산전략, 일본은 적극적 기회주의를 바탕으로 우회전략, 러시아는 적극적 실용주의를 바탕으로 이중전략을 각각 구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4강의 전략적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유럽차원 지역갈등(미/러)과 동아시아차원 지역갈등(미/중)이 우리가 처한 핵 딜레마와 동맹 딜레마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한편 일본과 러시아는 강력한 국내정치적 필요에 의해 기회주의/실용주의 대외행태가...
[학술논문] 최근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세 인식과 전략적 입장
러시아는 동아시아에서 강대국으로서의 입지 강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중국의 G2 부상, 남․동 중국해를 둘러싼 영토분쟁 지속, 북한 핵개발과 한반도 사드(THAAD) 배치 논의,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 및 일본의 안보법제 강화 등으로 차질을 빚는 등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세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러시아의 향후 전략적 대응과 한반도에서의 태도를 유추하고 한․러 전략협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세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역내 자국 위상 강화 및 국제질서 재편 부응, 역내 對美 전략적 균형 유지 및 견제구조 형성, 對中 일면 공조․일면 견제, 일본 활용, 극동시베리아 개발 및 아태지역 경제권 편입, TPP 등 국제경제협의체 관여, ASEAN과의...
[학술논문] 근현대 한중관계사의 새로운 담론 모색 -한국 중국사학계의 최근(2002~2017) 성과를 중심으로-
... ‘위협론’은 대부분 전통시대 ‘중화주의의 부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중국의 애국주의를 민족주의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동아시아의 일원으로써 긍정적 역할을 기대하는 ‘중국활용론’도 존재한다. 어느 주장이 되었든지 G2로 급부상한 중국의 동아시아 인식이 21세기 세계질서 형성에 주요 요소가 될 것이며 향후 한중관계의 변화에 결정적 요소가 될 것이다. 탈냉전시기 소련의 몰락과 미국 패권의 약화는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 속에서 중국이 재 부상됨과 동시에 한국과의 관계가 재조정에 들어섰다. 북한과 중국의 관계가 여전히 긴밀하지만 과거처럼 절대적이지는 않고 다양한 변수들이 상존했다. 남한과 중국의 관계는 개혁·개방이후 경제 분야의 인적·물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