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청년의 세대적'마음'과 문화적 실천: 북한 '사이(in-between) 세대'의 혼종적 정체성
본 논문은 북한 청년을 ‘사이(in-between)세대’로 정의하고 이들의 세대적 의식과 경험 체계를 심층적으로 기술하면서, 북한 청년의 특징을 세대적 ‘마음’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즉 북한의 ‘사이(in-between)세대’가 어떻게 자신들의 양가적인 위치와 정체성을 활용하고 있는지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북한의 청년은 기성세대와 연계되어 있는 의식과 경험세계를 구축하고 있으면서도 그 이면의 감정, 욕망, 의지 등의 영역에서는 기성세대와 구분되는 차이를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동경할 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불분명한미래는 이들이 불안감에 기초한 마음을 구성하게 하지만, 반면에 어느...
[학위논문] 북한 권력엘리트 변화양상과 경향분석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도 인접 사회주의국가에서 개혁2024;개방 초기에 나타났던 현상들이 일부 식별되었다 ① 신진(젊은) 간부의 등장과 개혁지향적인 권력엘리트의 변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김정은정권에 들어서 젊은 층으로 세대교체가 진행 중이다 1~2세대들은 세력이 약화되고 점차 퇴진하고 있으며 3~4세대들은 김정일정권 초기에는 위상이 높았으나 5년차에 접어들어 그 세력이 약화되었고 65세 이하의 5~6세대의 엘리트들이 주축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개혁지향적인 권력엘리트들은 김일성2024;김정일시대의 보수 세력들이 물러나고 변화와 혁신적인 젊은 층이 향후 북한 정권을 이끌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② 혁명 간부들의 감소 및 기술간부들의 당내 진입을 지속하고 있으며 대학 출신 간부들이 대다수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학위논문] 북한 당·군 관계의 변화과정 : 변화의 동인과 그 의미
...김정일이 군과 큰 갈등 없이 공생적 관계를 강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지만, 60대 후반에서 70대에 이르는 한국전쟁 세대들이 은퇴할 시점이 가까워 온 현 시점에서 김정일로서는 또 다시 미래를 준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군부에 의한 쿠데타’ 가능성은 김정일 체제의 미래를 전망하는 데 있어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시나리오의 하나였다.이미 북한 군부는 여전히 ‘선군’의 가치에는 충실하되, 자신들의 조합적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정치력의 확장을 지속 기도하는, 펄뮤터의 유형화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또 하나의 유형인 ‘혁명적 집정관 군부’로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만일 북한 내에 최고 지도자의 정통성을 훼손할 사건, 즉 체제난국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