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등 분쟁지역의 현상황과 평화로 가는 길을 모색한다.
“한반도 평화통일의 길을 묻다, 분쟁지역에서의 평화”라는 주제로 열린 「2023 국제학술심포지엄」의 강연록. 북아일랜드 사태의 원인과 결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현실, 타이완 분쟁의 실체,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아픔과 소망을 통해 화평케 하는 사람들의 사명과 소명을 확인한다.
평화드림포럼은 ‘통일의 방법’을 논하던 시대를 흘려보내고 ‘분쟁이 사라진 상태의 평화’가 아니라 ‘상생과 공존의 평화’로 한민족의 미래 가치 유산인 ‘한반도 공동체’을 꿈꾸고 설계하고 실천하고자...
[정치/군사]
.../>
경제보복, 무력 사용을 불사하는 근본이익
국가핵심이익의 3박자
국가주권-국가안보-국가발전이익
개념 공식화: 문서화, 개념화, 권위 부여, 절대화 작업
국가핵심이익 정책사
개념화 시초: 타이완 문제(2003년)
공식화 시점: 《중국의 화평발전》(2011년) 백서 발간
외연 확대: 국가이익 도입(장쩌민)→핵심이익 강조(후진타오)
→국가핵심이익 규정 본격화(시진핑)
시진핑 집권 2기: 中印 변경 분쟁, 미중 무역전쟁 부각
한중관계 30년_무너진 중국꿈
기회보다 위협으로 다가온 ‘중화민족의...
[학술논문] 金正恩时代朝鲜的核战略困境及对华政策
本论文利用同盟困境理论, 主要以第二次和第三次朝核试验为背景, 分析了金正恩时期朝鲜核战略的困境。 重点分析金正恩执政之后,调 整金正日委员长去世之前推行 “亲华” 政策的原因。 因为, 第二次朝核 试验之后, 中朝两国迅速恢复了正常关系, 按道理来说朝核问题未解 决的情况下, 中朝两国仍然会维持较稳定关系的可能性很大。 本论文 从朝核战略的困境中找出了金正恩执政之后中朝关系恶化的原因。 其 核心问题是为了得到拥核国地位不断挑衅的朝鲜行为, 不仅给美国的 同盟政治强化提供了借口, 而且与习近平的 “重新制定东北亚新秩序” 的战略相互冲突。 朝鲜在第2次和第3次核试验之后, 自称是拥核国, 还 把拥核写入了党章, 之后还利用软硬交加的双重战略, 寻找朝核问题 的突破口。 在这过程中朝鲜认识到东北亚同盟政治中 “中朝同盟”的局
[학위논문] 南北韓 統一政策에 관한 硏究
20세기초 朝鮮은 아무런 準備도 하지 못하고 倂呑을 당했다. 20세기중반 갓 태어난 南北韓은 同族간의 피비린내 나는 戰爭을 벌였다. 20세기 후반에 이른 지금 南北韓은 經濟運用의 失敗로 각각 국제통화기금(IMF)체제와 餓死직전의 失敗한 體制라는 어려움에 直面해 있다.
어제의 理念的 同志도 經濟的 利益앞에 등질 수밖에 없는 冷嚴한 現實이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고, 블록화 되는 世界經濟의 趨勢 속에 아시아태평양 經濟圈이 未來의 유수한 地域으로 浮上하고 있으며 이 地域에서 韓半島가 차지하는 比重이 나날이 높아가고 있다.
韓半島를 둘러싼 周邊4强은 韓半島의 分斷을 固着化시키면서 等距離 外交를 통해 自國의 利益을 極大化시키고 南北을 자신의 影響圈內에 두어 이 地域에서의
[학위논문] 韓半島 平和體制에 관한 硏究 - 多次元的 接近과 段階別 推進方向을 中心으로 -
한반도에서 평화체제 구축은 시대적인 요청인 동시에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 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현실적인 과제로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냉전기 미?북 주도의 한반도 군사질서를 탈 냉전기 통일 지향적인 남북 주도의 군사질서로 전환하는 것이다.
현재 한반도 평화체제 유지는 평화에 대한 남북 상호간의 입장과 논쟁의 차이를 조정하고 타협하는 지혜가 모아져야 할 것이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목표를 놓고 남북한 간에 내재된 복잡한 문제 (issues)들 이를테면, 북한 핵문제 외 다수의 복합적인 잇슈들의 다차원적인 접근 즉, 남북한, 주변국 그리고 주요 현안별로 어떻게 조정되어지고, 그것이 한반도 평화를 유지함에 있어 어떻게 적용되는 가를 규명하는 것이
[학술논문] 第六次朝核试验后朝美博弈与中国的应对
朝鲜第六次核试验已经改变了朝核问题的性质。制裁朝鲜的联合国安理会2375号决议出台后,朝鲜超过90%的出口受到限制,朝鲜的对外贸易会受到严重打击。对朝制裁会严重影响朝鲜的“生存”和“发展”。但是,制裁、施压、孤立的方式不会从根本上解决朝核问题。朝鲜为了“与美国保持实际性实力平衡”,还会进行增扩核导能力的挑衅行为。对美国来说,朝核问题已经触碰了美国的战略底线,特朗普总统上台后,强调对朝“战略忍耐(strategic patience)”政策已经结束,通过“极限施压”迫使朝鲜在核问题上做出“让步”,强调必要时对朝鲜采取“先发制人的军事打击”。中国为了解决朝核问题提出了“三个坚持”,但在实现目标的路径上各...
[학위논문] 韓國의 安保와 韓半島 平和體制構築에 關한 硏究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security threat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o find its solution with mid and long term consideration of the peace regime and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The security conflict of the last half centur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as deteriorated the consciousness of mutual-distrust and the national ideology an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