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에 대한 검토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청동기시대 가락동유형 주거지에서 확인되는초석의 계통에 대한 논의와 결부되어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가락동유형과의 관련성을 상정할 수 있는 지역(대동강 상류지역)의 초석 주거지만이 주목을 받게 되었고, 압록강 중·상류지역이나 두만강유역의 자료는 간과된 측면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남한지역의 돌대문토기 출토 주거지에서 초석이 설치된 사례들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남한지역 초석의 계통을 가락동유형의 계통과는 별도로 살펴보아야 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남한지역의 초석전통에 대한 이해의 정립을 위해서는 그 기원이 되는 북한지역의 초석자료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