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가족가치관의 비교고찰
...혁명역군인 자녀출산과 양육을 강조하고, 가족부양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남북한 가족가치관을 비교해 보면, 첫째, 모두 강한 가족주의를 근간으로 하지만 북한은 국가가, 남한은 개인이 우선시된다. 둘째, 법률혼을 원칙으로 하나 이성교제, 배우자 선택기준, 이혼 등에서 북한은 제한이 많은 반면, 남한은 자유로운 선택이 우선시된다. 셋째, 모두 부부관계의 평등성을 전제로 하나 북한은 역할인식 및 수행에서의 불평등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넷째, 모두 출산을 장려하고 자녀양육의 주체도 유사하나 자녀교육의 목표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모두 부양의식을 미풍양속으로 간주하나 남한의 가족부양의식은 북한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 이후 가정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술논문] 남북한 가정생활교육 관련용어 비교분석 - 아동・가족분야를 중심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가정생활분야 관련용어 가운데 아동・가족분야의 용어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통일 이후 가정생활교육의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남북한 용어비교를 위한 자료 수집은 북한 용어 사전, 통일부 및 정부기관 발행보고서와 관련 웹사이트, 북한의 가정생활을 주제로 한 단행본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용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 내용체계 가운데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영역용어가 관계영역용어보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발달영역 중에서는 ‘사랑과 결혼’ ‘임신 중 생활과 출산’에서, 관계영역 중에서는 ‘자녀 돌보기’에서...
[학술논문] 탈북청소년들을 위한 가정생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들의 가족기능과 생활역량의 강화를 통하여 남한사회에의 적응을 돕는 가정생활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탈북청소년들과 탈북청소년을 위한 학교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그들의 필요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교육은 2015년 4월부터 7월 사이에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인 여명학교에서 시행되었다. 청소년들이 실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가족생활 및 대인관계, 소비생활 등의 주제로 10차시 분량으로 준비되었다. 사전-사후 평가에서 의생활 및 가족생활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학생들의 지식 및 역량 면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학생들의 구술 응답에서도 프로그램의 내용이 실생활에 도움이...
[학술논문] 중학생을 위한 통일대비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본 연구는 통일 한국에 대비하여 통일 후 대한민국의 주축으로 성장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행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통일교육과 가정생활문화에 해당하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교육은 2015년 12월 사이에 서울시내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교육 내용은 가정교과의 세부 내용학을 중심으로 실생활과 밀접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가족생활 및 대인관계, 소비생활 및 여가 등의 주제로 12차시 분량으로 준비되었다. 사전-사후 평가에서 소비생활, 여가생활, 아동・가족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