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0년대 강화 직물노조사건과 가톨릭 노동청년회(JOC)
...(1962-65)이후 교회는 세상을 향해 문을 열고 사회에 대한 관심과 예언자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였다. 기존 노동사에 있어 60년대는 단순히 노동운동의 존재자체가 미비하거나 계급의식 수준이 낮은 ‘노동운동의 부재’의 시기로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강화직물 노동자들의 투쟁은 역설적으로 강한 국가권력, 자본에 저항하면서 60년대 노동운동의 치열한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강화직물 노조사건은 이러한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섬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직물노동자들의 노동운동이 발생했다는 점과 직물 공장 외부에 존재했던 가톨릭 노동청년회의 주도로 노조가 만들어지고 노동자들이 의식화 된 점, 노동운동에 있어 중요한 ‘연대정신’에 기초하여 직물노동자와 가톨릭 교회가 연대하여 국가...
[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에 대한 종교의 기여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다종교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가톨릭교회의 사회교리에 주목하여 한반도 평화에 대한 종교의 기여를 분석하였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사회교리는 학문적 대안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평화의 제1전제로서 인간 존엄성을 강조함으로서 과학적 대안들과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념 대결의 극복을 통한 민주주의로의 지향에서 학문적 대안은 많이 제시되지 않았지만 사회교리는 남북한 모두에게 민주화는 물론 이 민주화의 전제로서 인간화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다. 군사적 대치를 지양하는 평화주의의 실현에서 학문적인 모든 대안들의 한계를 극복하는 호소로서 사회교리는 인간 존엄성의 자각을 강조하고 있다. 보편주의의 실현이라는 민족공동체의 형성에서 학문적 대안과 가톨릭 사회교리 모두 무조건적인 교류와 지원을 강조하지만...
[학술논문] 동아시아 지역 공산주의체제 형성 과정에 천주교 단체의 생존 요인 분석 : 중국과 북한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둔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비슷한 시기에 공산화된 중국과 북한은 비슷한 정치사회적 양태를 보이면서도 특정 부분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지역 내 천주교 단체의 존속 역시 이 부분에 해당한다. 두 정권은 역내 천주교를 당의 지배를 받는 하위 단체로 포섭하기 위해 접근했지만 중국에서는 천주교가 애국회와 지하교회로 나뉘더라도 제한된 형태의 교회로 남게 된 반면, 북한 지역의 천주교는 ‘침묵의 교회’라 불리듯 단 한명의 사제나 수도자가 남지 않은 불모지로 전락하는 결과를 맞이하게 된다. 본 논문은 왜 이런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는지 연구 질문을 던진다. 본 논문이 중국과 북한의 천주교의 잔존 여부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설정한 것은 역내 천주교 구성원의 정체성과 당시 정권이 지니고 있는 이들...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지형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SouthNorth religious associations. The religious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working in North Korea are Council of Chosun Religious People, Chosun Buddhist Federation, Chosun Federaion of Christ, the Catholic Association of Chosun, and Central Steering Committee of Church of Chosun Chondogyo.
As of 2010, North Korea's religious population is approximately 41,000 people which corresponds...
[학위논문] 1970년대 이후 동독, 베트남, 북한의 체제변동 비교연구 : '국가-사회'관계의 동학을 중심으로
...베트남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사회주의 리얼리즘과는 다른 새로운 예술사조가 허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80년대 베트남 작가들과 개혁적인 관료들의 조심스러운 의견 개진이 이루어졌으며, 소련과의 관계가 강화되면서 상당히 자유롭고 개인주의에 기초한 영화와 소설의 창작이 가능하였다. 반면 베트남에서 사회영역의 반발은 강력하지 않았다. 남부에 위치한 가톨릭, 불교, 까오다이교, 호아하오 불교 등은 종교의 자유를 주장하면서 국가와 대립하였지만 예술가와 종교인들은 요구는 제한적이었으며 자유 민주주의와 같은 가치를 강조하여 전-사회적인 연대를 구축하지는 못했다. 이처럼 사회의 반발이 심각하지 않았고 경제가 침체된 상황에서 베트남 지도부는‘자원제공능력’을 향상하여 새롭게 정당성을 확보하는 전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