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시대 문학교육의 한 방법, 간문화적 역량을 중심으로-황석영의『바리데기』 를 중심으로-
본고에서는 황석영의 소설 『바리데기』를 대상으로 통일 시대의 문학교육을 위한 제재 가능성을 탐색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통일 시대에 필요한 역량인 간문화적 역량을 중심에 두고 이에 기초한 통일 시대 문학 제재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먼저 간문화적 역량의 개념을 살피고, 이를 지식, 기능, 태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여기에서의 지식, 기능, 태도는 문학 자체에 ‘대한’ 내용이라기보다 문학을 ‘통한’ 교육 내용에 초점이 있다. 이러한 간문화적 역량에 기초한 통일 시대 문학 제재의 선정 기준 역시 지식, 기능, 태도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이 외에도 기타 고려해야 할 요소로서 남한과 북한 교과서 수록 여부와 작가, 장르를 추가하였다. 제재 선정 기능의 주요 내용으로는...
[학술논문] <사랑의 불시착>에 나타난 상호문화역량과 통일교육적 시사점
...<사랑의 불시착>은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작가가 국립통일교육원에서 시상하는 올해의 통일인물에 선정될 정도로 남북 간 문화적 이질감 완화 등의 통일교육 활성화에 많은 기여를 했다. 남북한 평화통일 과정에서는 남북한 주민들이 상대의 문화를 단순히 지적으로 소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로 다른 문화를 수용하며 공존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랑의 불시착>에 나타난 상호문화역량을 심층적으로 탐구함으로써, 남북한 평화시대에 필요한 상호문화역량을 분석하고 통일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성찰적 이해, 창조적 소통, 이타적 존중이라는 남북한 상호문화역량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사랑의 불시착> 주요 등장인물인 윤세리가 북한 사택마을에서, 리정혁과 중대원들이 남한 서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