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그러진 조국-검역국가의 병리성과 간첩의 위상학
...사건들과의 관련 속에서 해당 사건의 의미를 검토하는 일이다. ‘재일교포유학생 간첩단사건’은 한반도의 두 국가에 있어 ‘간첩의 위상학’이 더 논의되어야 할 주제임을 알려준다. 이 사건을 다른 간첩단 사건들과 겹쳐 읽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국민’과 ‘간첩’이라는 두 주체범주의 확장과 변이를 살필 수 있다는 것이고, 아울러 재일조선인이 ‘잠재적 간첩’으로 인식되었던 맥락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보다 넓은 역사적 지평에서 보자면, 재일조선인 간첩사건은 냉전이데올로기에 의해 재편된 한반도와 그 이외의 지역들 간의 경계, 아울러 한반도 내부의 두 체제 사이의 경계를 모두 건드리고 있는 중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