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시대 북한의 정치: 지속과 변화
2011년 12월 17일 8시 30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과 함께 시작된 김정은 시대에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들이 보여 지고 있다.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에게로 제도적 권력 이양이 김정일 시대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은둔의 지도자였던 김정일과 달리 매우 개방적이고, 대중적인 리더십을 선보이고 있다. 선군정치 하에서 성장했던 군의 위상이 재조정되며,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던 노동당의 기능이 새롭게 강화되어, 전통적인 당-군 관계로의 회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김정은 시대에는 새로운 혁명위업 달성을 위한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김정일 시대 선군혁명역량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가운데, ‘김일성-김정일주의’라는 새로운 지도이념이 등장하였다. 김정은 시대 북한정치의 지속과 변화를 통해...
[학술논문] 김정은 리더십과 북한의 대외정책
...김정은의 리더십 특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2012년 12월 장거리로켓 발사와 2013년 2월 핵실험 이후 수개월 동안 미국과의 격렬한 갈등을 겪는 과정에서 “경제건설과 핵무력건설 병진노선”을 채택하였다. 이 과정에서 김정은 리더십의 “적극․공세적” 특성과 “강성․폭력적” 특성이 드러났다. 이 노선을 채택한 이후에도 대화와 협상을 통한 비핵화를 주장한 바가 있으나 미국이 대화를 거부하자 2014년 이후 줄곧 핵과 미사일 기술을 발전시키며 미국과 맞서고 있다. 대외정책을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변수들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했는데도 북한은 지속적으로 핵능력 강화를 통한 대미 균형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김정은 리더십의 “적극․공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