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널드 트럼프와 시진핑의 리더십 비교연구
...위해 트럼프와 시진핑의 리더십을 현재 가장 적실성있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는 리더십 분류인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창의적 리더십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트럼프는 정치가이기 전에 사업가이고 정치도 사업가 방식으로 하고 있다.『거래의 기술 The Art of the Deal 』(1987)에서 알 수 있듯이 트럼프는 전형적인 거래적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 등 많은 정치지도자들을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리더십으로 설명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시진핑은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창으적 리더십 모두 가지고 있다. 제임스 번즈는 변혁적 리더십의 개념에 가치문제를 포함시켰다. 비민주적인 중국의 지도자가 변혁적 리더가 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점은 창의적 리더십에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학위논문] 2000년대 이후 북한 고등교육정책 연구 : '세계적 추세'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단번도약’하기 위한 ‘우선순위 투자 프로젝트’로 전개하고 있다. 두 번째 요인은 엘리트 및 청년세대의 특성이다. 고난의 행군기 이후 시장화가 진행되면서 북한에도 외부 정보가 유입되었고, 청년세대는 한류 등 문화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엘리트들 또한 김일성 시대와 달리 김정일, 김정은 시대에는 ‘거래적 리더십’을 따르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들의 체제 자부심을 강화하여 포섭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고등교육정책을 발전시키려 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렇다면 북한의 고등교육이 세계화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까? 박재윤 외(2008)의 교육 세계화 정의와 개념틀에 비추어봤을 때 북한 고등교육이 세계화의 영향은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