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한국인들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과 전 세계에도 한국의 평화가 중요한가?
본서는 현 시대의 전문가들과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을 내놓는다. 제재를 강화하는 채찍이나 경제적 혜택의 당근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설득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 평화를 향한 실용적인 경로를 제시한다. 어쩌면 이 방안은 평화로 나아가는 유일한 길일 수 있다. 이 길은 남북한이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틀에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반도의 통일로 이어질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된 경로는 상호 수렴형 발전 중 하나로, 사실상 오늘날의 여러 국제 분쟁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지금까지 통일 한국의 비전을 구축하려는 의미 있는 시도가 몇 번 있었다. 그러나...
[정치/군사]
...전보를 열람했다. 아울러 중국 중심의 전쟁 기술을 피하고자 미국 역사학자 모리스 이서먼의 『한국전쟁』, 역사학자 로이스 애플먼의 『낙동강에서 압록강까지』를 비롯한 다양한 관련 역사서, 더글러스 맥아더 및 매슈 리지웨이 등의 한국전쟁 회고록도 참조했다. 이뿐만 아니라 개정판 출간시 독자들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관련된 논의를 거쳐 군사전문가들의 의견을 더욱 수렴하였으며, 최신 전쟁사료도 인용해 시선의 객관성과 다양성을 강화했다.
■ 출병_1950년 10월 1일, 고요하던 신新중국을 드리운 전쟁의 그림자
1950년 10월 1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1주년을 기념하는 국경일이었다. 국경일의 즐거움에 빠져 있던 중국인들은 거대한 전쟁의 그림자가 그들을...
[학위논문] 南北韓 統一政策에 관한 硏究
...結論的으로 兩 體制 공히, 安保에 치중하거나 나아가 相對方을 吸收하려고 하면서 한편으로는 統一을 논할 수밖에 없는 이중상황에 빠져 있었던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統一論義는 政權維持와 體制强化를 위한 手段으로 利用되어 왔으며 南北對話에 있어 진실성이 결여될 수밖에 없었다.
우리는 北韓의 聯邦制를 검토하고 北韓은 우리의 統一方案을 수렴하겠다는 姿勢가 요구되며 이렇게 수렴된 內容을 南北住民의 總意에 따라 合意된 統一方案으로 마련하는 過程이 必要하다 하겠다.
이러한 南北韓 統一政策間의 差異를 극복하고 統一韓國의 達成을 위해 해야 할 課題와 統一環境의 造成方案이 4장에서 提示되었다. 韓半島를 둘러 싼 통일환경의 변화는 대체로 韓半島 통일에 肯定的으로 평가할 수 있었고...
[학술논문] 남북한 경제협력이 북한의 경제성장에미치는 효과 분석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장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의 북한 경제 모형과 남북한 경제협력에 따른 북한 경제 모형을 설정하였다. 최근의 북한 자료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남북한의 경제협력이 북한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실험 하였다. 경제협력 방안으로 남한의 재정 지원을 통해 북한의 사회간접자본 확충과 가계 소득 보전이 일어나는 것과 북한의 남한 자본재 수입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북한 경제의 자립성장을 위해서는 경제협력을 통해 북한의 기술진보가 일어나야한다. 북한 경제에 기술 혁신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자본재 수입으로 인한 투자 증대도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게 된다. 둘째, 남한에서 북한으로의 투자 증대는 필수적이다. 북한의 투자의 증대는 노동의 한계생산물 증가와 실질임금 상승을 유발한다. 셋째, 북한의 자본
[학위논문] 북한의 문예정책과 구비문학의 활용 양상 연구
...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국신화나 북한의 구비문학은 국가주의적인 시각에서, 민중극.탈춤.민중가요 등은 민중주의적인 시각에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은 서로 다르다.
민중적인 차원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한 것은 열린 구조이며, 즉흥성을 지닌 장르라는 점 때문에 선택되었다. 열린 구조와 즉흥성은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서로 나눔으로써 정부에 대한 저항의식을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민중의식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민중 운동의 장에서 구비문학을 활용하는 것은 바로 민중의식을 제고하기 위함에 있는 것이다. 요컨대, 이념의 상향 전달 구조일 때는 민중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구비문학을 실현하는 것이다.
[학술논문] 독일 재통일 이후 지역 고령화의 통일 한국에 대한 시사점: 고령화율 및 고령자 부양비율을 기반으로 한 지역 수렴 및 클럽화
...사회․경제적 변화 측면에서 한반도 통일 이후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1967년부터 2023년까지 57개년, 특히 독일 재통일 이후인 1990년부터 2023년까지의 33개년 동안, 독일 16개 주(州)의 고령화율과 고령인구 부양비율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 간 고령화 수렴현상을 분석하였다. 1990년 재통일 이후 독일은 동서 간 경제적․사회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이동과 출산율 저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다. 동독과 서독 간 인구 구조의 차이(고령화 수준, 고령자 부양비율)는 통일 직후 명확하게 드러났으며, 이후 33년 동안 독일의 16개 지역은 고령화 추이와 패턴 측면에서 클럽을 형성하며 수렴하는 양상을...
[학위논문] 북한지역의 기후변화협약 산림메카니즘 활용방안 연구
...355천㏊를 기준으로 시기별 토지피복분류 결과를 중첩 분석한 결과, 산림황폐지는 1980년대 말 866천㏊, 1990년대 말 2,093천㏊, 2007년에는 3,051천㏊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한 인구추계 자료를 이용하여 지수함수로 산림 BAU를 추정한 결과, 인구 증가에 따라 산림면적이 감소하다가 2037년에 산림면적이 5,579천ha 정도로 수렴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980년대 말 산림황폐지 866천ha 중 2007년에 조림이 가능한 토지피복유형으로 분류된 A/R CDM 대상지는 662천ha로서, 이를 대상으로, 소나무, 잎갈나무, 신갈나무를 동일비율로 조림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A/R CDM 프로젝트 30년간의 목재축적량은 73백만㎥, CO2 흡수량은 96백만tCO2e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