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경험가치가 재구매의도와 동질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남북간의 화해 분위기에 따라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경험가치가 재구매의도와 동질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mart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험가치의 하위요인인 본질적 가치와 진귀적 가치는 재구매의도에, 본질적 가치는 동질성 회복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구매의도는 동질성회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보통크기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은 북한 향토음식의 영양, 맛, 품질 등의 본질적 가치와 낯선 북한 향토음식에 대한 호기심, 진귀함 등의 진귀적 가치를 재구매의도를 형성하는데 중요시...
[학위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북한관광 빅데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북한관광에 대한 동기를 촉진하는 추진요인(Push Factor) 신기성 차원, 모험심 차원, 사회성 차원, 향수성 차원 및 즐거움 추구 차원, 학습/발견 차원 등 6개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관광동기 촉진의 유인요인(Pull factor)에 대한 분석결과, 역사문화 추구가치, 관광자원 체험가치, 이질문화 경험가치 및 문화교류 추구가치 등 4개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온라인 빅데이터(Big data based on On-line)는 개인의 주관적 의견과 평가가 축적되고 다양한 사람과의 의견, 생각, 경험, 관점 등을 상호 교환·공유함으로써 형성된 결과물로써...
[학술논문] 북한 문학에 형상된 탄광의 장소성
...공동체에 응답하는 주인공이 아니라, 주변부에서 교정되어야 하는 인물이나 풍문처럼 지나가는 에피소드가 주목의 대상이다. 이들은 주인공의 승리, 영광된 호명, 숭고한 열정에 균열을 만든다. 특히 김정은의 통치 담론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탄광의 징벌적 장소성은 낙후되고 위계적인 공간의 성격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또한 적응에 실패해 탈주하는 인물들은 역설적으로 자신의 욕망과 가치 지향을 실천하며 생동감을 더한다. 죽음과 재해의 사건이 주는 긴장감은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감정이입을 고조시켜 공감적으로 경험하도록 이끈다. 결론적으로 북한 문학 텍스트는 탄광을 애국과 충정의 윤리 감각이 개별적 경험과 가치들과 충돌하는 지점을 반영하고, 국가와 미디어가 누락한 탄광의 장소성을 오히려 생동하게 전달한다고 볼 수 있다.
[학술논문]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도시림의 문화서비스 수요 특성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산국립공원에 대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및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이용자 인식 및 경험 가치에 기반한 도시림의 문화서비스 수요 특성을 분석하고 공간적 평가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에서는 블로그 포스트에 대한 토픽모델링의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산국립공원 문화서비스와의 관련성 여부와 공간평가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 여부를 고려한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도시림의 문화서비스 공간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토픽분석을 통해 도출된 총 21개의 토픽을 해석하고,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MA(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의 문화서비스 분류체계에 기반하여 총 13개의 문화서비스 관련 토픽을 도출하였다. 이는 전체 문서의 72.7%에 해당하였다. 토픽의 내용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