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사 교과서 현대사 기술에 대한 분석-국학(국사)의 관점에서-
이 글은 국학의 관점에서 『고등학교 한국사』 중 현대사 부분 기술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학이란 “단군시대에 형성된 한민족의 정체성 즉 ‘홍익인간’의 구현’”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중 현대사 부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사 교과서는 주체성을 기반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다. 특히 1945년의 국권회복과 6.25전쟁을 외인론에 치우쳐 기술하는 경향이강하다. 하지만 국학의 관점에서 보면 국권회복은 주체성의 확립이라는 근대정신의 산물이었다. 또한 6.25전쟁의 경우도 민족내부의 모순을 스스로 극복하지 못한 데 그 원인이 있음을 기술할 필요가...
[학술논문] 역사교과서 이념논쟁과 학문의 위기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의 현대사 서술 비교
By comparing the description of modern history in 8 different versions of 『Korean History』 high school textbooks published in 2014, this paper examines political bias prevailing in the history textbooks, which emerged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ese days. Major subjects for analysis are topics included in 8 versions of textbooks, such as the nature of the Cold War, policies of the U.S. and Soviet
[학술논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통일문제 서술의 특징: 북한사, 통일논의 및 남북관계사 인식의 상호 제약을 중심으로
2014년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북한사, 통일논의, 남북관계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북한사 서술에 반영돼 있는 역사인식은 남북 체제대결적, 우열적 사고 방식에 기초한 것으로 파악된다. 북한사 전개의 내적 맥락을 강조하기보다 현상에 대한 비판적 서술과 문제제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같은 북한사에 대한 냉전적, 우적론적 서술 경향은 통일논의와 남북관계사 서술을 제약하는 요인이 되었다. 통일논의에 관한 서술의 경우, 경제적 가치 논의에 집중하였다. 탈냉전 이후 정부, 언론 등에 의해 주도된 논의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같은 특성은 분단 이후 나타난 다양한 통일논의와 남북의 통일정책 및 방안에 대한 폭넓은 이해 대신 통일논의를 단조로운 경제문제로 이해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남북관계사는...
[학술논문] 2013검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 분석 - 교육부의 수정 과정을 중심으로 -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4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서 쓰이게 될 한국사교과서 8종이 2013년 8월에 교육부의 검정을 통과했다. 그러자 이를 둘러싼 ‘교과서파동’이 다시 시작되었다. 이 8종의 『한국사』 교과서 가운데 상당수는 여전히 논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이들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가 지녔던 주요 문제점을 거의 그대로 지니고 있다. 교육부의 수정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면, 제(諸) 문제들은 주로 현대사 서술에 집중되어 있으며, 크게는 북한에 관한 호의적인 서술과 대한민국의 건국을 부정하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폄훼하는 서술로 나눠진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은 1948년 유엔총회에서 한반도 내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현행 한국사 가운데 3종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게 서술했다가...
[학술논문] 통일독일의 동독사 연구성과 관점에서 본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 서술에 대한 분석과 평가
본 연구는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 서술내용을 통일독일의 동독사 연구성과 관점에서 분석하고평가하는 연구이다. 독일통일 이후 동독사 연구 성과가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 서술에 주는 시사점을도출하여 교과서 분석준거를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교 한국사 교과서 8권의 북한 서술내용을분석하고 평가했다. 한반도 분단사에서의 북한사의 위치, 국제정세, 남・북한 상호관계, 북한사 전개과정, 남・북한 비교, 남한사와 북한사의 서술 분량 차이를 분석준거로 삼았다. 연구결과 북한사는 한반도 분단사의 부록처럼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 분단을 가져온 동-서 냉전을중심으로 한 국제정세는 별도의 분석이나 평가 없이 역사적 사실 위주로 서술되고 있다. 남・북한 상호관계와 관련하여 대립과 경쟁, 교류 및 협력은 적절하게 서술되고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