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평균 점수에 있어서는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12.8점이 낮았다. 문항 난이도 차이를 바탕으로 국어 능력을 분석한 결과,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어려워하는 영역은 문법 인식 능력, 문학 지식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평가 문항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 영역이다. 반대로 북한 이탈 학생은 기본적인 모어 능력, 사실적 독해 능력에서 일반 학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도출한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첫째, 남북한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차이 및 문법 차이, 그리고 문학 작품을 목록화 한 교재 개발 둘째, 비판적 읽기 교육 및 민주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 셋째, 한국에서의 평가가 생애 주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평가 제도에 대한...
[학술논문] 분단 상황에서 중간자적 언어 교과로서의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어 문법 영향 관계 분석 연구 -문장 단위 문법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이 논문에서는 조선어문 선택 교과로서의 <문법> 교과서와 남북한 문법교과서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조선어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의 국어문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와 남북한 문법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장 단위 문법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어 고등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문장 단위 교육 내용 특징으로 1) 구어 중심, 2) 의미 중심, 3) 양태 중심, 4) 문장 단위 중심을 들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어 문법 교과서에 나타난 남북한의 국어 문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문법 교과서 기술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에 대한 사적 고찰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통일 대비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연구에 대한 시론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개별 교과별로 교과의 핵심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관련 교과 전문 용어 혹은 개념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한 후, 4장에서는 고등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남북 국어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1) 학술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 2) 교육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3장 1절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학술논문] 광복 이후 1970년대까지의 한글전용 논쟁과漢文敎育의 位相
...한국어를 부활시켰다. 한국과 북한이 재빨리 언어 독립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식민지 시기부터 한국어의 문법 체계를 체계화하고, 표준어를 査定하고, 맞춤법을 통일시키고, 한국어 사전을 편찬하는 등, 말글의 독립을 위해서 목숨까지 바쳐가며 헌신한 학자들의 노력이 중요한 주춧돌이 되었으며, 이들의 학문적 연원은 대체로 한힌샘 周時經(1876∼1914)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복 이후 남과 북에서 한글전용론을 앞장서 주장한 학자들은 대체로 周時經을 淵源으로 하며, 광복 이후 남한에서 모든 논쟁은 崔鉉培(1894∼1970)가 軍政廳 學務局의 編修局長에 취임하여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면서 교과서의 한글 전용 및 가로쓰기와 풀어쓰기를 시도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최현배의...
[학술논문]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 3』교과서의 문장성분 체계에 대한 연구
북한은 2012년 5-3-3제로 학제를 개편하고 2013년부터 교육과정 개정과함께 새로운 교과서로 편찬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국어 교과서도 소학교 2013년부터 2015년까지『국어』 1-5, 초급중학교 『국어』 1-3, 고등중학교 『국어문학』1-3이 편찬되었다. 그 중에서 북한의 문법 교육은 주로 소학교와 특히 초급중학교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는 초급중학교『국어 3』에 나타난 문장성분의 체계를 제시하여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고 검토하는데 목표가 있다. 북한에서 문장성분은 문장에서 일정한 물음에 대답하면서 일정한 역할을하는 단어 또는 단어결합으로 정의된다. 문장의 구조적 중심을 ‘술어’로 잡고, 이 구조적 중심으로서의 술어와 각 문장성분들이 맞물리는가의 여부에 따라문장성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