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과 개념, 맹세하는 육체의 언어들 ― 미군정기 한국의 언어정치학, 영문학도 시인들과 신어사전을 중심으로
...이들에 의해 개념과 생활, 외래성과 고유성의 독특한 종합이 수험되고 승인되었기 때문이다. 김기림은 이 잡종화된 ‘새 말’로부터 코스모폴리타니즘과 고유어 지향을 동시에 발견했다. 김기림에 따르면 민중 혹은 대중을 고려할 때, 당대의 언어현상은 고유한 코스모폴리타니즘(vernacular cosmopolitanism) 혹은 코스모폴리탄적 고유주의(cosmopolitan vernacularism)으로 해석될만한 것이었다. 김기림은 미군정 교육당국과 천재적 대중의 이러한 언어적 격돌을 “문법과 문학의 싸움”이라 요약하였다. “하나는 말의 헌법을 만들려고 들었는데 다른 하나는 현실의 움직이는 산 말에 충실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개념이 투쟁을 낳고, 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