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태준, 남로당 빨치산 문학의 기원 -그 미학적 특징과 정치적 논쟁점을 중심으로-
...‘멜랑콜리’는 유격대 전술에 대한 그의 회의적 전망을 여전히 암시하고 있다. <고향길>은 ‘절대적 적에 대한 절대적 전쟁’이라는 냉전적 대립 구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김일성을 애국심의 원천으로 보는 공식적인 ‘당 문학’ 노선으로부터의 일탈도 보여준다. 한국전쟁기에 북한 문학자들 사이에는 조선 인민이 발휘하는 ‘애국심’의 원천, 그리고 유격대나 인민군의 롤-모델을 누구로 할 것인가와 관련된 논란이 일어났으며, 이태준의 문학작품도 이러한 논란의 한 원인이 되었다. 한마디로 이태준의 <첫전투>와 <고향길>은 중간파의 입장에서 본 유격대 전술에 대한 전망, 남로당 계열의 문학 노선, 그리고 이 계열 작가들의...
[학술논문] 이태준, 남로당 빨치산 문학의 기원
...‘멜랑콜리’는 유격대 전술에 대한 그의 회의적 전망을 여전히 암시하고 있다. <고향길>은 ‘절대적 적에 대한 절대적 전쟁’이라는 냉전적 대립 구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김일성을 애국심의 원천으로 보는 공식적인 ‘당 문학’ 노선으로부터의 일탈도 보여준다. 한국전쟁기에 북한 문학자들 사이에는 조선 인민이 발휘하는 ‘애국심’의 원천, 그리고 유격대나 인민군의 롤-모델을 누구로 할 것인가와 관련된 논란이 일어났으며, 이태준의 문학작품도 이러한 논란의 한 원인이 되었다. 한마디로 이태준의 <첫전투>와 <고향길>은 중간파의 입장에서 본 유격대 전술에 대한 전망, 남로당 계열의 문학 노선, 그리고 이 계열 작가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