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andsat 영상을 활용한 북한 주요도시의 도시화 지수 분석
...통한 공간성(LISA)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성과 평양 모두 도시화의 정도는 커졌으나, 공간적 성향은 서로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핵심지역인 평양의 도시화 지수는 1994년부터 개성보다 더 빠른 추세로 진행되고 있었고 기존 도심에서 주변으로 점차 확장되어 도시 전반적으로 시가화 개발이 이뤄지고 있었다. 반면 개성의 경우 NDVI 수치의 변화폭이 많은 점 등으로 미뤄볼 때 기존의 산림과 같은 식생지역을 개발하여 시가지로 확장되는 패턴으로 하나의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UI와 LISA 분석만으로도 북한의 도시화 정도와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자료의 추출이 가능함과 동시에 향후 북한의 도시변화와 정치적 영향력이 어떠한 형태로 변화되는지 등의 공간성을 파악하는데...
[학위논문] 중등사회과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이념적 접근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서독의 통일대비 교육과정 구성의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통일교육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분석하였다. 통일교육과정의 변천은 정부 수립 및 과도기 (1948-62), 군부통치기 (1962-87)와 민족통합기 (1987-
2002) 등 크게 3가지 시기로 구분하여 시대적 공간성과 역사성에서 파악하였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통일교육은 국내외적인 환경과 남북관계, 통일정책, 통일운동 등의 관련요인의 영향을 받아 왔으며 민족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주의의 이념적 기초를 강화하면서 점차 민족통합의 교육목표와 내용으로 변화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남북한 중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학술논문] 분단의 마음과 환대의 윤리 : ‘태극기’집회 참가자들과 탈북자를 중심으로
...‘태극기’로 대표되는 세력은 극우적인 메시지와 반공이데올로기를 적극 활용하여 세대 간의 갈등과 대립을 전면화 하였고, 촛불시민 또한 국민국가적인 집단정체성을 필요충분조건으로 가정하면서 그 내부의 차이를 간과하기도 하였다. 사실 한국사회의 대부분의 시민은 다양한 사회적 공간과 다층적인 시간성에서 소외된 경험이 있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현 상황을 복수의 시간성과 공간성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구조로 파악하고, 이러한 구조 내에 정박하는 것이 불가능해진 행위주체의 문제를 ‘태극기’로 대표되는 노인 집단과 탈북자의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태극기’에 참여한 노인 집단의 경우 빠르게 변화하는 한국사회의 시간 구조에서 탈락한 이들이며, 탈북자의 경우 분단으로 인해 자신의 장소를 잃어버린...
[학술논문] 북한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의 시각정치적 언어 연구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1967)의 시각정치적 언어에 주목하여, 북한 유일체제의 시각화에 대한 기원과 특징을 밝히며, 그 작동방식을 해석한다.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은 1967년 6월 4일, 보천보전투 승리 30돌을 기념한 북한에서의 첫 혁명 전통기념탑이다. 1967년은 북한에서 전 사회적으로 유일사상체계의 확립을 선언한 시기이며, 김일성 절대 권력의 제도화와 개인숭배가 전면화된 시기이다. 이때 세워진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은 유일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상징적인 시각정치적 언어이다. 구체적으로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의 시각정치적 언어는 붉은 기발, 정면중심의 원칙, 투시적비례관계, 호수에 비치는 지도자, 시간성과 공간성, 서사적 구성 등을 통해 김일성을 중심으로 하는 유일체제의 특성을 드러낸다.
[학술논문] 1945년 이후, 개념의 잃어버린 ‘공간성’에 주목하라 —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문학예술편 1∼3』(구갑우·이하나·홍지석 외) —
...개념사(conceptual history) 연구서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한반도에 “개념의 분단체제”가 형성된 것으로 진단하면서, 38선 너머 공간을 연구의 시야로 적극 끌어들일 것을 제안한다. 이 기획의 발원지 자체가 북한학 연구의 중심인 북한대학원이라는 것, 필자들의 라인업에 북한 관련 연구자들이 대거 포함된 것도 단절된개념의 공간성을 복원한다는 취지를 최대한 실현하기 위한 전략이다. 자연히 이책의 무게 중심은 영토 분단이 시작된 1945년 이후에 놓일 수밖에 없는데, 그동안 한국의 개념사 연구가 주로 서양과 접촉한 근대 초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이러한 종류의 시도는 오히려 때늦은 감이 있을 정도로 개념사 연구 전반에 필요한 자극이라 할 수 있다. 개념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