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상고시가
...<구지가>의 단계에서 개인 창작시가의 단계로 넘어가는 어름에 <두솔가>가 있고, 그로부터 한시와 향가를 중심으로 하는 개인 창작 시가들이 앞 시대에서 지속되어오던 집단 가요들과 공존하는 시대적 맥락을 형성했다. 원시사회가 무너지고 고대국가가 출현하던 시기부터 개인 서정가요들은 만들어졌고, 그 가운데 한역을 통해 기록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이 <공후인>이다. 그들은 그 다음 단계인 삼국을 봉건국가로 규정했고, 첫 봉건국가를 고구려로 보았으며, 그 시기의 문학을 ‘중세문학’이라 했다. 이 시기 <황조가>를 비롯한 당대의 시가들을 통해 한자로 기록된 사실과 함께 ‘개별국가들을 초월하는 보편성’이라는 중세문학적 성향을 읽어냈다. 고대사회에 이미 이루어진...
[학술논문] 북한 교과서 ‘고전시가 해석’의 한 양상
...고전문학 작품들 역시 주체미학의 엄격한 범주 안에서 선택되어야 하고, 사회과학원이나 주체문학연구소 등에서 주체사상의 강령 아래 학자들의 합의에 의해 해석된 내용체계를 수용하여 교과서의 내용으로 편성하게 되니, 교과서의 구성이나 제작은 처음부터 주체사상의 이념적 틀 안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일이었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작품들은 고대가요 <공후인>, 중세시가 <정읍사>, <청산별곡>, 여러 편의 시조(김종서의 <삭풍은>/리순신의 <한산섬>/남구만의 <동창이>/정철의 <이보오>), <관동별곡>) 등이다. 이것들은 ‘착취와 피착취’의 계급사회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투쟁구조’가...
[학술논문] 북한 옥류금 연구
북한의 악기개량 사업의 결과로 1970년 대 옥류금이 등장하였다. 악기를 발명하는데 있어서 김정일의 교시가 있음을 밝히며 악기에 대한 당위성으로 ‘공후인’ 설화를 이용하였다. 북한에서는 와공후에서 옥류금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서양 하프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보인다. 악기의 연주법에 있어서는 가야금의 주법과 흡사하다. 가장 많이 쓰이는 옥류금은 33현이고, 이 악기의 가장 큰 특징은 변음장치 즉 페달이 있다는 점이다. 이 변음장치를 이용하여 전조와 이조가 용이해졌다. 옥류금의 대표적인 연주법으로는 분산화음·아르페지오·트레몰로·트릴·그리산도 등이 있다. 옥류금 연주곡은 민요 선율을 바탕으로 한 곡과 성악곡을 기악곡화 한 곡으로 나뉘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