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중국 대북정책의 역사적 형성과 지속
...연속성과 변화의 측면을 검토한다. 이전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한국전쟁의 주체로서 김일성과 스탈린을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았던 것에 비해, 이 연구는 마오쩌둥을 중심으로 중국 지도부의 참전결정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이 논문은 연대기적 서술방식을 따르기보다 결정과정에서 고려된 주된 요인들, 즉 관념적 연대, 외부적 안보위협, 내부적 안보위협, 전략적 고려의 네 변수의 역할을 살펴보고, 그 상대적 비중을 논의한다. 관념적 연대와 외부적 안보위협의 요인은 파병을 검토하고 수행하는 전반적인 배경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소련과의 긴장관계에서 참전결정의 최종 변수가 되었던 것은 ‘동북지방의 불안정성’이라는 내부적 안보위협의 요인인 것으로 보이며, 전략적 고려는 실제적인 참전과정을 통해서 부분적으로 수행되었다...
[학술논문] 북한 전쟁서사에 나타난 애정담의 번역 양상 연구 -북한 대외홍보지 『새조선』의 중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황건을 비롯한 문학가들은 영웅의 다양한 정동 양상을 리얼하게 형상화함으로써 미학적 자율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동포 독자와 ‘정동적 연대’를 구축하고자 한다. 그러나 『새조선』의 번역주체에게 있어서 ‘정동적 연대’보다 중국 독자와의 ‘이데올로기적 동맹’을 구축하는 것이 더 시급한 과제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들은 영웅 내면에 나타난 불안, 불만, 오해 등 부정적인 정동을 은폐하고 그 빈자리에 애국심, 사명감과 같은 관념들을 주입했다. 그 결과, 애정담에 나타난 남녀주인공들은 입체적인 내면세계를 지닌 ‘정동적 주체’에서 영웅주의를 구현하는 ‘관념적 주체’로 재형상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