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복귀 평양과기대 교수진은 중국∙호주∙유럽 국적자”
앵커: 평양 과학기술대학교 외국인 교수진이 9월 학기를 위해 북한으로 입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입국하는 교수진은 중국과 호주, 유럽 국적인데요. 미국 시민권자인 박찬모 평양과기대 명예총장은 미국인의 방북 금지령이 속히 해제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김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뉴스] 평양과기대 외국인 교수진 일부 복귀…팬데믹 이후 4년만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북한 유일의 국제 사립대학인 평양과학기술대의 외국인 교수진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북한을 떠난 지 4년만에 복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학술논문] 북한 함흥의과대학 교수진의 구성, 1946-48: 사상성과 전문성의 불안한 공존
This paper aims to reveal how Hamheung Medical College in North Korea kept up its faculty with the trend of a new political system. The time period consists of three series of evaluations that occurred between the start of a reformation action in 1946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me in 1948. At the time, it was difficult to secure college faculty in the medical field, because of a serious shortage
[학술논문] 해방 이후 남북 의학교육체계의 성립과 발전 — 이용설과 최명학의 생애와 의학인식을 중심으로
...교육자로서 교육행정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교육행정가로서 두 사람의 활동은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 진행되었다. 세브란스의과대학 학장으로서 이용설은 비교적인적 자원이 풍부한 상황에서 교수 충원과 시설보완을 진행할 수 있었으며 국가의 간섭이나 통제를 받지 않았다. 반면 함흥의과대학 학장으로서 최명학은 극심한 인재난에 시달려야 했으며, 그나마도 자신을 포함한 교수진들에 대한 관계 당국의 혹심한 사상통제와 검열을 지켜봐야 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이용설과 최명학은 의료국영화를 이상적인 의료체체로 간주하였으며 의료상업화에는 적극적으로 반대했다. 이용설과 최명학의 의료국영화에 대한 지지는 최응석과 같은 좌익진영주류의 의료국영론과는 다른 내용이었지만, 남북의 이념대립 속에서 각각의 체제가 요구하는 의학교육 체계의 상에...
[학술논문] 중국 대학교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향 : 4년제 본과 교육을 중심으로
...2008년부터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전환기를맞이하였다. 그러나 외국어 교육은 국내 정책 및 국제 정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바, 대내적으로 고등교육 개혁과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대외적으로 북한의 경제 개혁개방 결심, 한반도 비핵화 등 양호한 국제 정세가 한국어교육의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위기는 잘 활용하면 도약의 계기가 될 수 있다. 현재 취업률이 낮아 지원율도 낮은 한국어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위해서는 대동소이한 교과과정의 문제, 교수진의 직함 문제, 졸업생의 취업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나아가 더 중요한문제가 바로 대학 구조조정이며, 한국어교육의 지역화 특색 교육 구축, 고차원적인 교육 구축, 그리고 융합과 특색을추구하는 ‘신문과’ 교육 구축이 시급하다.
[학술논문] 『조선사 개요』(1957)의 早期 봉건사회설과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조선사강좌에서 간행한 『조선사개요』를 검토했다. 특히 『개요』에서 早期 봉건사회설을 채택한 데 주목해 그 배경과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했다. 1950년대 중ㆍ후반 북한 역사학계에서는 삼국시기를 전형적인 노예제사회로 본 백남운의 한국 고대사 연구와 체계가 도전받고 있었다. 『개요』의 조기 봉건사회설은 그 일면을 보여준다. 『개요』의 필진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교수진으로, 경성제국대학-서울대학교 사학과 출신이 다수였는데, 이들은 1930년대∼해방 전후 조선의 주류 마르크스주의자와 연줄이 이어져 있었다. 『개요』의 조기 봉건사회설은 그로부터 배태된 것으로, 조선사강좌의 학문적 배경과 특징을 반영했다. 해방 이후 북한의 역사학계는 민족주의 성향의 역사학자 그룹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그룹으로 양분해 볼 수 있는데...
[학위논문] 2000년대 이후 북한 고등교육정책 연구 : '세계적 추세'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1999년 채택된 교육법과 2011년 채택된 고등교육법, 2015년 채택된 교원법에 교육 교류협력 관련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고등교육법의 경우 외국 교수의 초빙강의와 유학생 교류뿐만 아니라 ‘세계적 수준의 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과학연구원 교육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평양과학기술대학은 유일한 사립 국제대학, 남북합작 대학으로 외국인 교수진이 영어로 북한 학생들을 가르치는, 북한 교육제도의 제한적 개방성을 보여주는 사례다.
둘째, 교육 분야 인적·물적 교류가 미미하게 이어져 왔다. 유학생 교류의 경우 2000년대 이후 파견국을 다변화하고, 2009년 자비유학생 제도를 도입하였다. 2010년대 후반에는 유학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재북 유학생 전공 분야를 확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