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와 적응 지원방안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 응답자들이 현재 다니고 있는 교육기관의 형태는 인가된 대안학교가 가장 많았고, 한겨레중고등학교, 미인가 대안교육시설 순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이 겪고 있는 현재 생활의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이며, 그 다음으로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정신적 어려움, 상담자 부재, 자살 생각, 주위 시선이나 차별, 숙식해결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정책적 욕구 조사 결과, 학습 또는 진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멘토가 9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로 탐색을 위한 체험(89.4%) > 입시 및 진학정보 제공(86.1%) > 봉사활동 기회 제공(84.1) > 직업교육 훈련(83.4%) 등 자신의 미래와 관련된 부분들이높은...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일본생활 정착과정에 미친 정치적·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주민을 위해서 가칭‘지구마을’공모사업을 통하여 몇 개의 모델을 만들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외무성이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페스티벌(Global Festival)에 단체 활동을 전개하거나 부흥청(復興庁 Reconstruction Agency)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원봉사·NPO·공익법인 등과 연계해‘재생’사업에 관련된 분야만이라도 추가하면 재일 북한이탈주민 지원 단체를 통하여 가능한 사업이 될 수 있으리라 제언한다. 이는 일본인 납치 피해자들이 일본에 돌아올 경우 일본사회에 재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될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학술논문] 교양교육과 연계한 서비스러닝의 사례연구
...위해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주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개별 인터뷰, 그리고 두 차례에 거친 평가회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비스러닝을 통해 학생들은 문화적 차이를 존중하는 법을 배우고 남북 대학생들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둘째, 서비스러닝이 교과수업에 도움이 된 점은 영어능력 향상과 자신감 고취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인 서비스러닝을 위해 학생들은 공감능력을 키우고, 편견을 깨기 위해 노력했으며, 마지막으로, 다음번 서비스러닝 활동 설계를 위해 개선해야 할 점으로 정확하고 공정한 역할배정, 명확한 보고체계 설정, 격주가 아닌 매주 열리는 수업, 그리고 교육 행정적 지원을 꼽았다.
[학술논문] 사회과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권교육의 과제와 방향
... 당위적인 서술 형태보다는 다면적, 다각적인 시점에서 사회현상을 바라보고 학생 스스로가 가치·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역사회에 참여하고 봉사하며 조사할 수 있는 프로젝트 활동 등을 활용하는 등 사회참여, 행동을 위한 적절한 안내가 필요하다. 앞으로 새롭게 개발되는 검정 교과서에서는 보다 포괄적이 면서 넓은 각도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하여 다루어 학생들이 그들의 인권 보장을 위한 참여와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 문화적으로 합당한 간호를 제공해야 된다는 인식을 갖게 되며, 이들에게 맞는 문화 간호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PTT 모델에서 제시하는 4요소 외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봉사활동과 같은 문화적 만남을 추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직접적인 문화적 만남이 어려울 시에는 대중매체 등의 적절한 활용을 추천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교육 시 토의, 사례관리, 문제중심학습, 성찰 일지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문화적 인식과 태도 함양을 이끌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