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사회 진입에 따른 한국 교회 대응 방안 연구
...살아가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지원과 노력이 국가에 의한 제도적 지원과 민간 NGO 단체의 노력 외에도 지역사회 내 교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필요로 한다. 증가하는 이주자들에 대한 교회의 관심과 적극적인 개입은 선교적 차원에서 뿐 아니라,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매우 절실한 분야이다. 이는 그리스도의 사랑, 평등에 기초한 공동체 형성의 디아코니아적 실천이다. 한국교회는 다문화 복지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현실적인 대안 없이 뒷짐을 지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은 한국교회의 선교적 차원에서 한국에 들어온 이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이다. 한국교회는 내국인을 포함한 이주자를 선교의 현장으로 인식하고 이들에게 선교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에...
[학술논문] COVID-19 확산 이후 한국사회 사회갈등 이슈와 미래신호 탐색: 국내 뉴스 기사 키워드를 중심으로
...897건을 수집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주요 키워드 30개를 추출한 후, KEM(Keyword Emergence Map)과 KIM(Keyword Issue Map) 키워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였다. 주요결과, ‘약신호’ 영역에는 마스크, 북한, 교회, 대응책 키워드가 분포하였으며, ‘강신호’ 영역에는 경제, 대통령, 국가, ‘잠재신호’ 영역에는 혐오, 교육, 통합, ‘강하지만 증가율이 낮은 신호’ 영역에는 정치, 정부, 원내대표 등의 단어가 분포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한국사회 복합갈등 양상과 갈등이슈의 변화 및 미래신호를 해석하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회갈등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