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신년사 분석을 통한 김정은 시대 지속과 변화
...이어서북한 정권별 신년사 특징과 함의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김정은 시대의 지속과 변화를 전망해 보았다. 먼저 지속적인 사항으로 제시한 사항은 사회주의 체제 고수와 선군정치의 통치방식이다. 변화사항으로는 ① 경제난 타개를 위한 부분적인 개방문제, ② 북한의 핵문제, ③ 자본주의 성격의 유입과 사회주의 통제력 약화, ④ 김정은의 해외 유학경험 등을 4가지 사항을 변화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김정은 시대의 북한 사회의 변화와 지속요인은 복합적으로 작동될 것이다. 김정은 시대의 북한의 지속과 변화문제는 남북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핵심 사항들이다.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국론결집 노력 강화와 변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북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학술논문] 천안함 폭침관련 남북한 주요 신문사설 논조 비교분석 - 국내 보수, 진보성향 신문과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
...사건의 현실을 인식하는데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사안에 따라서는 특정 담론과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남북관계나 안보와 관련된 사항은 일반 국민들이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신문사설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천안함 폭침사건이 발발한지 4년이 지나갔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그 도발의 주체와 대응태세에 대한 일치된 국론결집이 나타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에 대한 명확한 현실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일간지 사설과 북한 『 로동신문』의 논설을 비교분석하여, 사설논조에 따라 형성되는 담론과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진보성향의 매체인 『 경향신문』과 『 한겨레』는 천안함 폭침이후 1년이 경과하는 동안 북한소행이라는 주장은 거의...
[학술논문] 북한의 핵실험 지속과 통일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
...효과를 보이고 있다. 북핵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통일환경악화의 주요인으로 향후 북한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체제붕괴를 촉진시키는 비효율적 카드이다. 북한의 핵실험은 남한에 안보위협을 가중시켜 결국 한국사회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통일담론과 대북인식에 부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한반도 통일환경은 시기별로 정권에 따라 대북정책과 통일정책이 변화・발전되어 왔다. 향후 한반도 통일담론은 북핵 현실에 따라 국가안보를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북핵은남북관계와 한반도 평화통일환경의 붕괴의 주요인이며, 한반도 안보환경과 동북아지역 안정 균열 요인으로 작용된다. 우리 정부는 북핵위기 극복과 통일을 위한 초당적 국론결집과 국제공조를 전면적으로 가동시키고 북한체제 변화에 전방위적으로 나서야 한다.
[학술논문] 북한 지전략(地戰略)의 패턴 분석 및 사례 연구
...양태로 표출되어 왔다. 북한의 지전략 선택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이 논문은 ①한국전 남침을 준비하는 김일성 정권의 대소・대중 동맹 포착; ②군사적 자력갱생의 자주노선 추진과 중・소 분쟁 시기 등거리외교; ③탈냉전기 버티기와 핵무장 강행 정책; ④김정은 정권의 러・북 동맹외교 등에 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신냉전의 경쟁 구도 심화는 평양의 지정학적 위기 비즈니스 운영에 유리한 기회의 창을 열어주었다. 한반도의 안정을 유지하고 평화적 통일의 기반 조성을 위해 동맹 강화 및 공약 유기 방지, 현상 국제질서 유지를 선호하는 해양 자유주의 협력 국가들과의 심층 연대, 의도하지 않은 위기 발생과 확전 방지를 위한 동북아 지정학 게임 참여국들과의 전략대화 플랫폼 구축, 국민적 단합과 국론 결집 노력 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