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통일과정에서 구동독 국영기업의 민영화
...비용을 투입해야만 한다. 우리는 그들의 실패경험으로부터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그리고 언제부터 준비해야 하는지를 배우고자 한다. 여기서는 우선 독일통일후에 단기간에 걸쳐 입법을 하고 시행하였던 국영기업의 민영화 관련 법률들의 시행과정과 그 문제점들을 분석함으로써 우리에게 제공하는 법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통일국가의 경제통합에서는 단순한 경제논리 일변도의 통합정책이 아닌 전체 경제구조적 관점 혹은 고도의 산업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통일국가의 경제통합 경험으로부터 향후 남북경제통합시 북한 국영기업소에 대한 민영화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경제․산업․법정책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그러한 고려요소들로써 (1) 남북한 균형적 산업구조의 형성, (2) 북한지역의 자본과 부의 형성, (3)...
[학위논문] 북한 선군정치와 시장경제의 모순적 융합 : '관료적 시장경제'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발생한다. 즉 관료 권력과 시장 행위자들이 결합된 IP가 북한경제를 조종한다. 여기에 선군정치는 관료적 시장경제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것은 군(軍)도 SCCP·국영기업·시장의 모든 영역에 침투하여 시장 경제활동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북한의 억압적인 관료적 시장경제가 이끌어낸 정치경제적 변화를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첫째, 근 30년간 관료권력의 정치경제적(체제수호·경제적 이익)이중성이 권력내부의 약화를 가시화했다. 둘째, 선군정치에서 SCCP 통제관료·국영기업·종합시장의 결합은 시장의 지속적인 확산과 부패를 가속화했다. 경제적 이익과 통제의 배타성(排他性)은 북한의 시장 확산을 이끌어내는 근본적인 수단이다.
...
[학위논문] 통일대비 북한 개혁·개방정책에 관한 연구 : - 중국과 베트남을 중심으로 -
...‘포전담당책임제’를 가칭‘포전경영책임제’로 변경 실시할 필요가 있다. 포전경영책임제는 포전을 농가별로 분배하고, 각 농가의 책임 하에 포전을 경영하고 생산물의 처분권을 각 농가에 부여하는 영농제도이다.
넷째, 북한의 국영기업에 대한 소유와 경영의 분리, 사기업 합법화, 국영기업 구조조정, 주식회사제도의 도입 순으로 점진적·단계적으로 개혁해 나갈 것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북한은 국영기업에 대한 보조금을 완전히 철폐하여 재정과 기업을 분리하고, 예산제도를 경성화하며, 재정수입은 세금제도로 전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북한이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외지향적 성장정책을 추진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은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외국인직접투자(FDI)...
[학술논문] 체제전환에 따른 북한 기업회계제도의 발전 방안: 북한과 중국의 회계법제와 체제전환 상황 비교
...회계법제의 발전이 중국의 길을 2005년까지는 따르고 있으나, 그 이후는 독자적인 길을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은 2006년에 ‘외국투자기업회계법’을 제정할 때 한국 기업회계기준을 상당 부분 채용하였고, 2006년 이후에는 중국의 회계제도 개혁 과정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독자 노선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회계제도 개혁이 지연되는 이유는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 과정에서 소유권 제도의 법제화가 미비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의 시사점]북한이 지금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유권 제도의 법제화, 국영기업의 법인화 및 민영화 등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이 조속히 이루어지고, 이러한 시장경제제도가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회계제도의 개혁이 완성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