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베 정권의 외교안보정책 - 국가안전보장회의, 집단적 자위권 그리고 헌법 개정 문제
...국가안전보장전략(NSS)에서 제시된 ‘국제협조주의에 입각한 적극적 평화주의’는 앞으로 일본이 정치군사적으로 국제문제에 더적극적으로 관여하고 기여해갈 것임을 표명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베 정권의 외교안보정책 전환에는 중국과 북한의 군사적 위협 증가 등 일본을 둘러싼 안보환경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일본은 미일동맹의 강화를 통한 억지력의 강화와 동시에 자국 스스로의 방위(군사)능력의 강화를 추구하고 있다. 한일 양국은 미국을 공통의 동맹국으로 하면서 다양한 군사적 교류를 해왔지만, 양국 국민들 사이에 충분한 신뢰가 쌓여 있다고는 할 수 없다. 한일 양국이 안보 면에서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을 넓히고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한반도와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이다.
[학술논문] 외교 증진 및 북한 핵위협 관리에 있어 한미동맹 도전과 기회
...• 북핵 문제는 억제력과 군사적 조치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기 때문에 북한을 겨냥한 공동의 억제력 강화에 대한 동맹국의 초점이 중요하지만 동시에 북한과 외교적 행보의 진전과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중단 가능성이 희박하고, 중·단기적으로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위기고조 가능성을 감안할 때 현시점에서 위기관리와 위험 경감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베이징을 비롯한 주요 이해당사자들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전략적 위험 감소를 위한 정치적, 군사적 교류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공식, 트랙 1.5 및 트랙 2 수준에서 추구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과도기에 북한의 참여를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학술논문] 한중 군사관계 30년: 회고와 전망, 그리고 발전방안
한국과 중국은 지난 30년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군사교류를 진행해 왔다. 군 고위급 인사들의 상호방문, 고위급 대화 및 실무회의, 국방관련 협정 체결, 해공군 부대 간 직통전화(hot line) 설치, 그리고 양국 해군 간 수색구조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한중 군사관계는 한반도 안보상황의 변화에 따라 부침(浮沈)을 거듭해 오고 있다. 수교 이후 꾸준히 발전했던 한중 군사관계는 2010년 북한의 천안함 공격과 연평도 포격 도발을 계기로 잠시 단절되었고, 2011년 5월 국방장관 회담을 통해 회복된 양국 관계는 2016년 7월 한국정부가 사드 배치를 결정하면서 다시 악화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3불(三不)을 언급하여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지만 아직까지 양국의 군사관계는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렇게 볼...
[학술논문] 한반도 위기관리를 위한 한일 GSOMIA의 군사외교적 고찰
...추구하는 이념이 유사할 경우 공동의 적에 대해 동맹의 체제를 유지하며 위협에 대비하는 게 일반적이다. 국가는 국제체계 속에서 자국의 국력을 고려하여 동맹과 협력을 선택하며 대응해 나간다. 북한의핵과 미사일 위험이 점증하고 있는 불안한 안보상황을 고려 시 북한과의 대화와 타협도 중요하지만, 군사적 대비를 통해 위기관리를 해나가야 한다. GSOMIA는 동맹국들 사이에서 체결하는 협정이며많은 선진국들도 체결해왔고, 또한 유지하고 있다. GSOMIA는 양국이 상호 규정된 방법에 의해 정보교환을 원활히 하면서, 군사협력이나 군사교류 등으로 발전 가능한 모멘텀이나 레버지리가 될 수있다. 동북아 국제정세를 고려하고 국내정치적 상황도 감안하되, 한반도 위기관리를 위한 국익과군사적 관점에서 GSOMIA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무기체계 및 개발과정 관점의북한 핵무기 분석과 전망
북한은 2023년 10월 실험용 경수로를 재가동했고, 핵시험장에서 활동이 관측되는 가운데 러시아 푸틴과 군사 교류가 긴밀해지고 있다. 특히 미국 대선과 함께 북한은 그동안 멈춰 있던 핵능력의 변화를 위해 어떤 물밑 움직임이 예상된다. 그런데 그동안 북한 핵시험에 대해 우리의 의지를 반영하여 관찰해 왔기 때문에 그 예측이 본질에 접근하지 못했다. 따라서 북한 핵시험 과정을 무기체계 기능분석과 개발 과정에 대입해서 6차에 걸친 핵시험이 어떤 노력이었는지 추정하고, 향후 어떤 노력이 예상되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북한은 원자탄과 수소탄을 각각 개발하는 2개 트랙으로 진행했는데 3차와 5차 핵시험은 원자탄 개발 노력이었고, 4차와 6차는 수소탄 개발 노력이었다는 판단을 했다. 원자탄은 5차 핵시험을 통해 표준 규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