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지형도(地形圖)
...고향에 대한 향수와 귀환 욕망의 발현 등이 지속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디아스포라의 서사적 여정을 반영하는 것이다. 황순원의 소설에서는 도일(渡日)과 월남(越南)을 통해 작가가 실제적으로 겪은 월경(越境) 체험으로부터 디아스포라의 공간적 지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아스포라의 여정은 고향을 떠난 이산자들이 타향(이주지)에서의 역경을 거친 후에 다시 고향으로 귀환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황순원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 일본 유학을 통해서 체험했던 디아스포라는 귀향과 광복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귀환이 마무리되는 체험을 하게 된다. 그런데 북한의 토지개혁기에 월남하면서 초래된 디아스포라는 남북한의 분단 상황이 고착화되면서 미완의 여정으로 남게 된다. 황순원은 좌절된 귀환 욕망을 추동하기 위해서 디아스포라의...
[학술논문] 북한에서 ‘임수경 열광’과 도전받은 집단주의
...표현하고 싶은 북한 주민들의 욕망을 분출시켰으며, 그의 이름으로 유행하였다. 임수경을 통해 북한 주민들은 당국이 주입하는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 남한을 새롭게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는 훗날 북한 사회 균열의 출발점이 되었다. 13차 청년학생축전을 경험한 50세 이상의 북한 출신들은 남한으로 오게 된 동기의 밑바탕에는 임수경을 통한 남한사회 관심, ‘남한 바로 알기’ 노력이 있었다고 증언한다. 특히 통일은 정부 차원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던 북한 주민들은 남한 청년 학생들의 통일운동과 13차 축전장에서 벌인 임수경의 활동을 통해 민족의 구성원들 개개인이 나서야 할 문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임수경 방북은 북한의 통일정책에도 영향을 주었는바, 그의 귀환 후 1990년 남과 북, 해외동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