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승만의 민족운동에 나타난 기독교 국가건설론과 사회윤리
...미국의 선교사들에 의해 전해진 미국식 기독교 민주주의국가론을 받아들여 기독교 입국론을 주창하기도 하였다. 한성감옥에서의 기독교개종 후 그는 <신학월보>와 그가 저술한 <독립정신>을 통해 기독교 입국론을주장하였다. 특히 그는 1919년 3.1운동은 한국의 기독교 목회자들의 주도하에일어난 거족적 독립운동이라고 규정하면서, 대한민국은 기독교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국가이며, 한국을 ‘아시아의 모범적 예수교국가’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는한국을 기독교 민주주의 국가로 건설하기 위해 개인의 자유와 평등의 보장, 예수그리스도의 구속에 대한 신앙에 기초한 개인윤리, 그리고 역사 변혁적인 기독교사회윤리 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승만의 기독교 민주주의 국가건설론은 대한민국 건국의 과정에서...
[학술논문] 츠빙글리의 국가론에 근거한 통일을 향한 기독교의 책임
한국 교회의 다수가 개혁신앙을 고백하는 장로교회에 속해 있기도 하지만 개신교 전체의 맥락에서도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에 개혁교회의 아버지와 같은 츠빙글리의 국가론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 교회가 추구해야 하는 통일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유익이 있다. 본 연구는 츠빙글리의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전체 작품들 속에 나타난 그의 국가론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통일을 향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츠빙글리는 말년으로 갈수록 신성로마 제국의 칼 5세나 프랑스의 프란시스 1세에게 자신의 저작들을 헌정하는 등 국가론에 있어서 스위스를 둘러싼 주변국과의 국제 정치적인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국가는 교회와 더불어 하나님이 세우신 신적 기관이며, 국가는 국민의 평화로운 삶을 위한다. 하나님에 의해 임명된 국가의 지도자는 탐욕을 버려야...
[학술논문] 민족의 해체 시대에 남북 분단의 고착화의 극복과 통일을 이루는 한국 신학으로서 통일신학의 길 모색
본 글은 최근 한반도를 중심으로 심각해지는 남북 분단의 고착화를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어 갈 통일신학의 길을 모색하는 글이다. 논쟁의 중심에는 남한과 북한에서 통일 무용론과 더불어 두 민족과 두 국가론에 기초한 민족의식의 해체가 있다. 게다가 이 문제에는 지난 20세기 동안 한반도에서 자라난 종족 민족주의에 대한 환상과 그에 따른 남북통일에 대한낭만적인 생각에 대한 실질적인 비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한반도 분단체제를 극복하기 위한 길로 민족 개념의 유효성을 바탕으로 낭만적인 통일의 길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실질적인 길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첫째, 본 글은 현재 한국에서 민족 개념에 대한 박찬승, 백낙청과 신기욱의 인식을 살피고 민족 개념의 유효성을 해명한다. 이들은 3 ․ 1운동을제국주의적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