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 장마전선 북상 앞두고 긴장…"자만하면 엄청난 후과"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이 19일 장마전선의 북상을 앞두고 피해 예방과 대책 마련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남한의 기상청 격인 기상수문국을 인용해 "저기압과 불안정한 대기의 영향으로 6월 19일부터 20일 사이에 전반적 지역에서 비와 소낙비가 내릴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뉴스] 북한 전역서 모내기 마무리…기상 악화로 작년보다 늦어져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이 전국적으로 모내기를 마쳤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밝혔다.
통신은 "농업부문 일군(간부)들과 근로자들, 지원자들의 노력에 의해 전국적으로 기본 면적의 벼모내기가 결속(마무리)되였다"고 보도했다.
[뉴스] 러시아 “김정은 방러 조율 중… 구체적 일정 언급은 시기상조”
러시아 정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관련해 일정을 조율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시점을 말하기는 이르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스] 폭우·홍수 조기경보체계 전국 도입 추진
폭우 및 큰물(홍수) 조기경보체계의 전국 도입 사업이 진행 중이라고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가 14일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기상수문국은 이미 평안남도 성천군에 군급 폭우 및 큰물 조기경보체계를 시험 도입했고, 이를 전국으로 확대하기 위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뉴스] 조태열 장관 “한국 자체 핵무장, 시기상조지만 '논외'는 아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6일 한국의 자체 핵무장론에 대해 "시기상조"라면서 반드시 논외는 아니라고 여지를 열어뒀다. 북한군 포로 한국 송환 문제에 대해서는 "본인 의사 확인이 선결 조건"이라고 밝혔다.
[사회/문화]
...소통하고 융합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구상할 수 있는 새로운 역사적, 공간적 트렌드를 필요로 한다. 국제질서에서도 다른 국가와의 경계를 높이 세우고 민족을 중심으로 형성된 국민국가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모습은 적합하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한반도에게 중국 동북 3성은 특별한 곳이다. 한반도와는 과거, 현재, 미래가 밀접하게 연결되어있는 공간, 동북은 한민족에게 한반도 북방의 기상을 다시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우리가 새로운 시선, 새로운 해석으로 사려 깊은 관심을 가지고 그 맥을 이어야 하는 곳이 되었다. 북방을 바람같이 누비고 다녔을 광개토대왕의 모습을 기억하며 그곳 동북에서 시작하여 더 멀리까지 북방의 기상을 한껏 발휘하며 힘찬 미래를 열어가는 ‘한반도의 시간’을 기대해 본다.
[통일/남북관계]
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 해란연구총서 시리즈 4
[학술논문] 여가활동과 기상·기후간의 관계분석: 등산활동을 중심으로
... 탐방하였고 2월에 가장 적은 등산객이 탐방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은 등산객 분포가 가을 28%, 여름 27%, 겨울 24%, 봄 21% 순으로 나타났고, 10월에 가장 많은 등산객이 탐방하였으며 3월에 가장 적은 등산객이 탐방하였다. 또한 기상·기후정보와 등산객수의 관계를 분석결과 첫째, 기온은 봄과 겨울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여름과 가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강수량, 운량, 습도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일조량과 미세먼지에서는 양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기상기후의 변화는 등산객의 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상기후에 대한 정보서비스의 활용과 야외 여가활동 관계에 대해 논의 하였다.
[학술논문] MODIS NDVI와 강수량 자료를 이용한 북한의 벼 수량 추정 연구
...지역의 MODIS 평균 NDVI 최대값과 등숙기의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북한의 벼 수량은 2007년이 2.71 ton/ha로 가장 낮게, 2006년이 3.54 ton/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계 값과 추정 값의 산점도를 통하여 비교한 결과 벼 수량이 약 3.3 ton/ha 보다 적을 때는 모형의 추정 값이 높고 그 이상일 때는 통계 값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모형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로 사용되는 위성영상의 품질, 단일 시기의 벼논 마스크 영상, 기상 관측지점의 수와 자료의 품질, 통계 값의 품질 등으로 벼 수량에 대한 추정 성능의 한계가 있지만 객관적 자료를 사용하여 재현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 모형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자료의 품질을 높여 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학술논문] UN의 한국문제 기여와 북한 위기상황 시 UN의 참여
한국은 광복 후 정상적인 국가로 출발하려는 순간부터 UN의 창설과 함께 UN 과는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한반도의 분단 원인이 냉전구도에 따른 외세의개입이었지만 UN의 지원하에 자유민주주의국가로 발돋움하였고 동시에 UN 역시 한국문제의 처리를 통해 국제평화와 안전 유지라는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과거 한국문제에 있어서 또 앞으로 통일을 대비하는과정에서 UN의 기여를 논하고자 한다. 과거 한국문제에서 기여한 UN의 역할이‘하나의 한국’을 위한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조성함에 있어서 여전히 유효하고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국문제가 국내문제인 동시에 국제문제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기 위해서는 국제법적 정당성이 부여되는
[학술논문] 한반도 미래전쟁에 대한 연구
...미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미래의 전쟁은 정치적 환경과 전장환경을 모두 고려할 때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정치적 환경은 세력균형의 변화로 인한 결과이며 이를 고려했을 때, 한반도에서의 미래전은 북한을 주적으로 하면서 북방 3개국과 남방 3개국이 개입하는 ‘블록화된 국제전’의 형태가 될 것이다. 또 한반도의 전장환경, 즉 지형과 기상, 북한의 군사전략과 군사력을 고려했을 때 한반도 미래전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국지적 범위의 단기 총력전’이 될 것이다. 한반도의 산악지형과 점차 확대되는 도시지역, 그리고 북한의 열세한 전쟁지속능력으로 인해 장기전보다는 단기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북한은 전쟁의 목표를 수도권에 집중함으로 전력의 분산 없이 신속하게 전쟁을 종결시키려...
[학술논문] 최근 10년(2007~2016년) 북한의 기상기후 연구 동향 - 기상과 수문지를 중심으로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recent trends in weather and climate research in North Korea. We selected North Korean journal ‘Weather and Hydrology’ for the last 10 years (2007-2016), and identified trends in research subject, researchers, and affiliations. Furthermore, we analyzed the major achievements and trends by research sector. Our main results are same as follows. The larg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