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1990년대 경제위기와 기업 행태의 변화 : 생존추구형 내부자 통제와 퇴행적 시장화
.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 이후 북한 국영기업의 개혁 전략
...생산설비 투자와 자재 공급 부족 등으로 기업소들의 생산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통일 이후 남북경제통합을 위한 통일경제체제 구축을 향한 우선적 과제로서 북한 국영기업의 개혁을 통한 사회간접자본 확충 및 기업소 사유화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 국영기업 현황으로서 북한의 사회간접자본과 산업별 기업소 실태에 대해 분석하고, 체제전환국가들의 국영기업 개혁사례를 통해 한반도 상황에 적합한 시사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북한의 최근 국영기업 관리체계 개편의 특징과 남북경제협력의 교착상태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통일 이후 북한 국영기업 개혁방안을 고찰한다. 결론에서는 이를 위한 한국 공기업들의 중추적 역할과 함께 남북교류 및 경제협력 관련 법률의 개정 필요성을 검토한다.
[학술논문] 북한 기업관리 정책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분석: 1986-2018년 『경제연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 의미연결망을 파악하는 것이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은 인접해 있는 핵심단어 및 개념들을 재구성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여 텍스트의 맥락적 의미를 추출해내는 방법론이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2010년대에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는 과거의 ‘대안의 사업체계’와 ‘독립채산제’를 대체하는 기업관리 체계의 새로운 중심 원리로 등장하였다.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는 기업관리 정책의 하부 개념들과 이슈들을 체계적으로 연결하면서 이끌어 가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제도화되고 있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온 이후 기업관리 정책에 나타난 최고지도자의 권위는, 과거의 직접적인 주도자 역할에서 기업관리 정책 전반의 연결자 또는 조정자로서 그...
[학술논문] 북한 기업의 노동력관리운용제도 - 기업소법의 경영권상 노력조절권을 중심으로
...파생되는노력조절권 행사의 범위에 대하여 노동력관리운용의 실제 현황과 결부하여 고찰하였다. 김정은 시대 경제정책의 특징은 불법 또는 비공식이 혼재된 기업의 시장경제적인 경영활동을 어느 정도 수용하면서 이에 대한 법제도적 정비를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부터‘실질적 경영권’은 기업관리운영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지향성이 있다. 하지만 사회주의기업관리체계의 공고함을 위한 목적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하여, 경영권 행사의 범위가 언제든지 임의적으로 해석되어 변경될 수 있는 한계도 있다. 노동력관리운용의 실제 현황을 보면, 제한적이지만 어느 정도 자율성이 부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당국의 개혁의지에서가 아니라 그동안의 비공식적인 노동력관리운용 방식의 일부를 뒤늦게나마 합법화한 것이다. 이는 국영기업의...